글 목록
-
신뢰를 쌓은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한비자의 ’ 세난 ‘편 한비자의 ‘세난’ 편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유세자는 처음부터 군주에게 직언을 할 것이 아니라 주변 신하가 직언할 때 이들을 서포트하거나 또는 실수할 때 도와주면서 우선 신뢰를 쌓으라고 합니다. 동양 문화와 서양 문화의 차이이기도 합니다. 서양 문화에서는 당장 나의 성과를 보여주기 위해서 새로운 상사나 동료 앞에서도 자신의 의견을 활발하게 제시하는데 동양댓글 0 Feb 01. 2025 by 나단 Nathan 조형권
-
독자서평한 번만 읽으면 여한이 없을 한비자 독자들의 서평은 무섭습니다. 올라오는 대로 공유겠습니다. 중국을 통일한 진시황은 한비자를 한 번만 보면 여한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래서 한비자의 나라였던 한나라를 침략하여 한비자와 조우하게 된다. 하지만 진시황은 그토록 보고 싶어 했던 한비자를 본 후 그를 그대로 방치한다. 이유는 알 수 없지만 한비자는 말을 더듬었다고하니 진시황의 눈에 미덥지 못했댓글 0 Jan 19. 2025 by 김영수
-
확신하지말자혼란속의질서 한비자는 사람을믿지말라고 했다. 그런그도 친구를 믿었다가 죽었다. 혼란의 시대, 무엇을 믿을것인가. 주류 미디어인가. 유튜브인가. 블로그인가. Connect the dot, search your own truth. (한비자와 서머셋몸은 말 더듬이였다고 한다.) 한비자는 거짓말일수록 그럴듯하다고 했다. 도깨비그림 그리기가 호랑이보다 쉽다고도 했다. 혼란을댓글 0 Jan 05. 2025 by 이규호
-
고사성어 36510월 27일: 빙탄부동기이구(氷炭不同器而久), ~ 10월 27일의 고사성어(301) - 공부와 연구의 차이는? 빙탄부동기이구(氷炭不同器而久), 한서불겸시이지(寒暑不兼時而至). * 얼음과 열탄이 같은 그릇에 있으면 오래 보존할 수 없고, 추위와 더위는 같은 계절에 함께 오지 않는다. * 《한비자》 <현학(顯學)> 눈으로 읽으며 낭독하기 그러면서 한비자는 “서로 다른 학문을 한데 섞어 나라를 다스릴 수댓글 0 Oct 27. 2024 by 김영수
-
고사성어 36510월 3일: 호질기의(護疾忌醫) 10월 3일의 고사성어(277) - 나쁜 것을 감추면 더 나빠진다 호질기의(護疾忌醫) * 병을 숨겨 의원에게 보이기를 꺼린다. * 《한비자(韓非子)》 〈유로(喩老)〉; 《사기》 〈편작창공열전〉; 《주자통서(周子通書)》 눈으로 읽으며 낭독하기 ‘병을 숨겨 의원에게 보이기를 꺼린다’라는 뜻으로, 잘못이 있는데도 다른 사람의 충고를 듣지 않는 것을 비유댓글 0 Oct 03. 2024 by 김영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