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목록
-
입은 화를 부르는 문이다"입은 화를 부르는 문이고, 혀는 몸을 자르는 칼이다. 입을 닫고 혀를 깊이 감추면, 처신하는 곳마다 몸이 편하다." "口是禍之門 舌是斬身刀 閉口深藏舌 安身處處牢" (구시화지문 설시참신도 폐구심장설 안신처처뢰) 전당서(全唐書)에 실려있는 글이다. 당나라 말기부터 오대십국 시대에 걸쳐서 재상을 지냈던 옛 중국의 정치가 풍도(馮道)의 설시(舌詩)라는 시댓글 4 Mar 30. 2025 by 몽유
-
희망의 신● 라라크루 [금요문장: 금요일의 문장공부] 2025.3.28 1. 원문장 버리는 신이 있다면 줍는 신도 있다. (捨てる神あれば拾う神あ) - 일본 속담 2. 나의 글 : <희망의 신> - 문학소년 어제 점심시간에 잠깐 들은 라디오 프로그램의 오프닝 문장이다. 인간을 고뇌와 고통의 바다에 무한정 버려 버리는 신이 있다면 줍줍 주워서 정성스레 건져 올댓글 6 Mar 27. 2025 by 김호섭
-
100-24) 바람 먹고 구름 똥 싼다.우리나라 속담에 "바람 먹고 구름 똥 싼다."라는 말이 있다. 형체도 없는 바람을 먹고, 둥둥 떠가는 구름 똥을 싼다는 뜻으로 허황된 행동을 비꼬는 말이다. 나는 복권이 잘 터진 곳이라고 해서 이천도 가보고, 안성도 가보고, 서울 복권 명당이라고 해서 용산에서 1시간 거리에 있는 곳을 찾아간 적도 있다. 익산도 복권 명당에 가서 1시간씩 줄 서기도 일댓글 0 Mar 26. 2025 by 가시나물효원
-
무럭무럭 건강하게만 자라다오“이랑이 고랑 되고, 고랑이 이랑 된다”는 속담이 있다.이랑은 높직한 밭두둑을 이르는 말이고 고랑은 제 흙을 이랑에 넘겨줘 약간 파인 낮은 자리다.여기서 이랑은 채소와 곡식을 잘 기르도록 보필하는 역할을 한다. 밭을 관리하는 사람의 발에 밟히게 되는 곳이 고랑이다.올해 우리 집 텃밭은 고랑이 없어져 버렸다.물론 처음 파종을 할 때는 가르마댓글 0 Mar 05. 2025 by 무량화
-
자포자기잡담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먼저 단속을 하지 않고 일이 벌어지고 난 후에 조치를 취한다는 속담이죠. 소중한 것을 잃고 난 후의 부질없는 행위인 것이죠. 그런데 이 속담을 있는 거대로 받아들이면 그래도 옛날에는 최소한 다음번에는 이러지 않도록 외양간이라도 고치는 행동이라도 한 것 같은데 요즘은 그 외양간조차 고치지 않는 것 같아 영 답답하네요. 사회적으로 사건댓글 0 Mar 03. 2025 by Zero
-
8. 안아도 주고 업어도 주고 해 줄게요2020년 11월 25일의 기록 '한 명의 아이를 키우려면 마을 전체가 필요하다’는 아프리카 속담이 있다. 아이를 낳고 나서 이 말에 천 번이고 공감했다. 진짜 그러하다. 한 명의 아이를 키우는 데는 시간과 노력과 수많은 고민들과 공부와 염려와 그리고 사랑까지. 퍼부어야 하는 것이 많을 줄은 알았지만, 이렇게 많을 줄은 미처 알지 못했다. 그리고 이 속담은 일상 육아 속에 어려운 상황댓글 0 Feb 28. 2025 by 찰떡마미
-
퇴사 후에도 잘되는 분들의 공통점 (4명 예시)'배운 게 도둑질'이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기는 하지만, 긍정적인 측면에서 보면 사람의 기술이나 경험, 습관이 쉽게 바뀌지 않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기도 합니다. 이 속담을 직장에 적용해보겠습니다. 우리는 직장을 10~20년 다니게 됩니다. 언젠가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의 길을 걸어간다고 할 때, 내가 어떤 직장을 다녔고, 직장에서 무엇댓글 4 Feb 25. 2025 by 부아c
-
오는 건 순서 있어도 가는 건 순서 없다.393일 차. 우리말 표현에서 특히 속담 같은 말을 듣다 보면 어느 것 하나 틀린 말이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어쩌면 수백 혹은 수천 년간 살아오면서 터득한 삶의 지혜, 그 자체인지도 모릅니다. 단 한 번도 예외적인 상황을 본 적이 없는 듯합니다. 이럴 때마다 꼭 이렇게 되어 가더라,라는 확률이 거의 100%로 수렴된 것이라고나 할까요? 가령 '호랑이도 제 말하면댓글 0 Feb 22. 2025 by 다작이
-
콩콩밥밥인과법칙 요즘 콩콩밥밥이라는 티브이 프로그램이 인기가 있는 것 같습니다.우리나라 속담에 진리가 담겨 있더군요.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인과의 법칙입니다.사실 자연의 법칙이라 생각합니다.이보다 명확한 것은 없습니다.세상에 공짜 점심은 없습니다.담배를 피우면 폐암에 걸릴 확률이 증가하고, 탄 고기를 먹으면 대장암에 걸릴 확률이 증댓글 0 Feb 20. 2025 by Bluegrass
-
about 미술) #도시와예술 속 브뤼헬 12가지 속담바빌론 파트에 담긴 브뤼헬 작품 탐구^^/ 600페이지를 너무 흥미롭게 완독한 #도시와예술. but 재독하며 다시보니 또 너무 새롭습니다~^^; 세계사,건축,미술등..다방면으로 관심과 호기심을 늘리고픈 중학생이상에게 추천드립니다^^/ 바벨탑의 기원등..종교,역사적으로 탐구해 볼 요소도 많지만 일단 작품만으로도 저 멀리 지평선까지 세부적 묘사가 감탄을 자아냅니다. 예술을 접하는 여러가지 이유 중댓글 0 Feb 06. 2025 by 신나는아름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