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오 슬롯 '덕질'하는 여러가지 방법
덕질은 정말 세상을 구할까요?
파라오 슬롯 좋아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누군가는 직접 파라오 슬롯 만들고, 누군가는 같은 파라오 슬롯 극장에서 'N차 관람' 하면서 계속해서 즐긴다. 누군가는 그 영화에 대해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거나 글을 쓴다. 내 경우에는 '직접 파라오 슬롯 만드는 것' 외의 모든 것이 포함되는데, 말하자면 특정한 영화나 특정 영화인(배우, 감독 등)을 '덕질' 하는 것이 아니라 파라오 슬롯라는 콘텐츠, 혹은 파라오 슬롯라는 무형의 매체 그 자체를 덕질하는 것이겠다.빙글에서 마련한 이벤트를 계기로 지난 한 해 동안, 그리고 지금까지, 스스로의 파라오 슬롯 덕질 라이프를 점검해보게 되었다.
덕질의 가장 기본적이고도 중요한 방법은 물리적인 것을 모으는 일이다. 몇 년 전부터 멀티플렉스 파라오 슬롯관의 티켓이 대부분 영수증을 겸한 종이 표로 바뀌면서 파라오 슬롯표 하면 생각나던 특유의 이미지가 많이 사라진 것이 사실이다.그 후 CGV에서 관객들의 이런 아쉬움을 눈치챘는지 '포토티켓'이란 걸 만들었다.(최근에는 메가박스에서도 CGV의 포토티켓과 비슷한 서비스를 게시했다)여느 책보다 두꺼울 만큼의 높이로쌓인 저 포토티켓을 거슬러 올라가니 2014년 9월까지 흘러간다. 차마 수량을 세어볼 엄두가 나지 않아 대신 최근 티켓들을 몇 장 꺼냈다.
작년 연말의 <아쿠아맨부터 최근 <메리 포핀스 리턴즈, 그리고 CGV 아카데미 기획전을 통해 재관람(4차)한 <스타 이즈 본 등이 눈에 띈다. 포토티켓 모으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CGV에서는 포토티켓 전용 앨범도 출시했지만 나는 그런 것 안 쓴다. 위쪽 사진에 쌓여있는 포토티켓 옆에 나온 틴케이스가 지금 내 포토티켓을 수납하는 공간인데, 저게 다 차서 더 이상 수용하지 못하면 이 티켓들은 어디로 가야 하나, 물론 그런 건 아직 생각해보지 않았다. 2019년도 벌써 3월이 다가오고 있는데, 확실한 건 올해도 수십 장의 티켓들이 쌓이리라는 점이다. 한 가지 2018년의 가장 뿌듯한 일은, 파라오 슬롯 <쓰리 빌보드를 보면서 그 파라오 슬롯 속에 등장하는 소재(옥외광고판)에 쓰인 문구를 따라 그대로 포토티켓을 만든 것이다. 물론 구글링 따위 하지 않고 직접 디자인해서 만들었다. 포토티켓에 사용하기에 최적화된 이미지 사이즈(가로x세로 px)는 구글을 검색해보긴 했다.
앞에서부터 각각 '죽어가면서 강간당했다', '그런데 아직도 못 잡았다고?', '어떻게 된 건가, 윌러비 서장?'이라는 내용으로, 파라오 슬롯 <쓰리 빌보드에서 단지 소재를 넘어 극 중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핵심적인 모티브다.
그러나 포토티켓은 기초 중의 기초(?)라고 할 만하다. 전단이나 포스터, 엽서 등 좀 더 물리적인 성질을 느끼게 해주는 것들이 파라오 슬롯 덕질계에는 많이 있다. 전단이야 개봉 몇 주 전에 각 파라오 슬롯들마다 전국극장에 뿌리는 것이니 쉽게 구할 수 있고, 2절이나 대국전 크기의 포스터나 각종 엽서는 파라오 슬롯사에서 마련하는 여러 이벤트(IMAX 예매 이벤트, N차 관람, 리뷰 이벤트 등등)를 통해얻을수 있으며,최근에는 주로 예술 파라오 슬롯 중심으로 영화 홍보를 위해 제작한 굿즈를 관람 후 증정하는 '스페셜 패키지 상영'이 늘었다. 하나 더, 뒤에서 또 얘기하겠지만 DVD나 블루레이를 구입하면예약 구매 혹은초판 한정으로 포스터나 엽서 같은 증정품을 얹어주기도 한다.
앞선 사진과 포스터의 배치가 다소 다른 걸 볼 수 있다. 지금 거주하는 곳으로 이사 온 후, 이 책상은 마치 삼면이 벽으로 둘러싸인 것처럼 답답했다. 엽서든 포스터든 뭐라도 붙여야겠단 생각이 들어 나만의 '파라오 슬롯의 벽'을 만들기 시작했다. 그러다 여름맞이, 겨울맞이 등 일정한 주기를 두고 몇 개월마다 포스터 배치를 바꿔보기도 하고, 기존의 것을 떼고 다른 걸 붙이기도 한다.
그러다 보니... 처음엔 스카치테이프를 떼서 양면처럼 만들어 뒷면과 벽 사이에 붙이기도 했고, 지금은 마스킹 테이프를 써보고 있는데 이게 벌써 몇 개월이 지나서인지 어떤 건 괜찮은데 사진의 <라라랜드처럼 조금 큰 포스터의 경우에는 테이프가 세월(?)의 힘을 견디지 못하고 조금씩 떼어지기도 한다. 다시 스카치테이프로 돌아가야 할 것 같다. 아무튼 이 파라오 슬롯의 벽은, 고스란히 자신의 취향이 담긴 것이다. 좋았던 파라오 슬롯, 블루레이를 소장하고 있는 파라오 슬롯, 너무 좋았던 파라오 슬롯, 아주 좋았던 파라오 슬롯, 진짜 좋았던 파라오 슬롯, 극장에서 일곱 번 본 파라오 슬롯 등.
앞서 영화의 물리적 성질을 이야기 한 건, 영화라는 게 사실 스크린 안에서 영상이 끝 모를 듯 펼쳐지고 나서, 그 영화가 끝나고 극장을 나설 땐 오로지 머리와 마음에만 영화가 남아 있을 뿐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질 수 있는 실체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티켓이나 포스터, 엽서 같은 것들은 그 파라오 슬롯 좀 더 오래 기억하고, 나아가 만지고 느낄 수 있는 성질의 것으로 만들어준다. 각종 배지들도 마찬가지다.
영화의 물성을 체감하게 해주는 최고봉은 블루레이와 DVD다. 요즘에야 넷플릭스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서도 파라오 슬롯 많이 볼 수 있고 IPTV나 VOD 매체가 발달했지만, 턴테이블에 LP를 돌리거나 CD플레이어에 CD를 넣듯 영화가 담긴 디스크를 넣고 파라오 슬롯 재생하게 해주는 블루레이와 DVD는 내게는 최고의 매체다. 물론 이건 정말 비효율적인 일이다. 영화 티켓값보다 훨씬 비싼(블루레이 기준 보통 3만 원이 넘는다.) 값을 주고 사야 하고, 책처럼 진열하거나 수납할 공간이 필요하며, 디스크를 컴퓨터나 전용 플레이어에서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 비효율적인 수집 행위의 모든 장점은 '만질 수 있는 영화' 하나로귀결된다. 블루레이나 DVD에 담긴 각종, 제작진의 인터뷰나 촬영 현장의 스케치 영상, 주요 삭제 장면 등의 보너스 콘텐츠는 덤이다.
그러다 보니 이런 일도 있었다. 2018년 2월 ~ 3월 당시 극장에서 본 파라오 슬롯 중, 북미에서는 이미 2017년에 개봉한 파라오 슬롯이다 보니 해외에는 블루레이가 이미 출시되어 있는 파라오 슬롯도 있었다. 집에서 그 파라오 슬롯들을 너무 다시 보고 싶은데 아직 극장 상영 중이라, 하루에도 몇 번씩 아마존 사이트를 드나들며 블루레이를 검색했다. 그중 <쓰리 빌보드,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의 북미판 블루레이를 결국 구입했다. (DVD는 우리나라와 미국이 지역 코드가 달리 분류되지만, 블루레이는 어쩐 일인지 우리나라와 미국의 지역 코드가 같다. 그래서 문제없이 재생할 수 있다.) 물론 국내화된 자막 같은 걸 포기하고 영상을 택한 것이지만, 운 좋게도, 아주 드물게도, <콜 미 바이 유어 네임과 <쓰리 빌보드의 경우 국내 극장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번역 자막(황석희 번역가)이 삽입되어 있었다. 두 파라오 슬롯는 국내 개봉과 비슷한 시기에 북미에서 블루레이가 출시되었고 각각 소니와 폭스의 직배 파라오 슬롯이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다. (아쉽게도 <셰이프 오브 워터의 북미판 블루레이는 영어와 스페인어만 지원한다. 현재는 위 사진의 세 파라오 슬롯 모두 국내판 블루레이가 정식 출시되어 있다.)
파라오 슬롯 함께 감상하고 이야기 나누는 모임을 한동안 진행하면서 참석자들에게도 나름의 비슷한 경험을 하게 해주고 싶었다. 그래서 해외 이미지들을 활용해 일종의 포토티켓과 같은 카드를 만들었다. 초기에 만든 것들은 별 다른 실용성이 없었는데, 나중에는 앞면에 영화 이미지를 담으면서도 뒷면에는 각자 메모를 하거나 감상을 적어볼 수 있는 여백을 만들었고 크기도 좀 더 크게 만들었다.
파라오 슬롯 덕질의 방법은 이렇게 다양하다.위사진은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레디 플레이어 원을 볼 당시 스필버그와 관련된 책이나 파라오 슬롯의 원작, 스필버그 감독의 다른 파라오 슬롯들 중 내가 갖고 있는 DVD, 스필버그 감독에 대한 글이 실린 파라오 슬롯잡지 등을 모두 꺼내며 본격 '레디 플레이어 원 덕질'을 시작했었다. 이건 절대로 내가 똑똑해서 할 수 있는 '통섭' 같은 게 아니다. 물론 똑똑해지고 싶다는 바람은 있다.
혼자서 하는 덕질도 소중하고 좋지만, 조금 더 삶의 질(?)이 높아지는 방법은 나와 취향이 비슷한 이들과 그 덕질을 함께하는 것이다. 내게는 만나면 음식 사진이나 서로의 사진이나 셀카 같은 건 단 한 장도 찍지 않으면서 오직 서로가 (자주 만나지는 못해서 대체로 다시 만나려면 몇 달이 걸리곤 한다) 그동안 쌓아온 각자의 덕력(?)을 뽐내며 서로 굿즈나 카드 같은 것들을 하나 둘 꺼내놓는, 그런 지인들이 있다. 커피 마시고 밥 먹고 다시 커피. 점심때 만나서 저녁에 헤어지는 이 사람들과는 파라오 슬롯 이야기와 책(주로 시, 소설 등) 이야기가 끊이지 않는다.
덕질이 정말 세상을 구할까. 물론 <레디 플레이어 원(2018) 같은 파라오 슬롯 보면서 그 질문은 내게 거의 확신으로 바뀌었지만, 여전히 돌이켜보는 질문의 하나다. 좋아하는 파라오 슬롯 아끼고, 다시 보고, 그것에 관해 소비를 하고, 이야기를 나누는 일이 이 세상에 어떤 이로움을 안길까. 이제는 그것에 관해 생각해볼 작정이다. 아, 하나만은 말할 수 있겠다. 이 덕질은, 적어도 내 세상은 확실히 구했다.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2019.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