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other time 자축인묘
/@@gLDp
그 치열하고 숨 막히는 전쟁터 같은 열사의 땅... 한바탕 회오리가 물러나며 어느덧 찾아온 칠흑 같은 고요의 시간 나는 이 시간을 기다리며 칼을 간다 마치 우물 밑 개구리처럼koTue, 08 Apr 2025 21:11:48 GMTKakao Brunch그 치열하고 숨 막히는 전쟁터 같은 열사의 땅... 한바탕 회오리가 물러나며 어느덧 찾아온 칠흑 같은 고요의 시간 나는 이 시간을 기다리며 칼을 간다 마치 우물 밑 개구리처럼//img1.daumcdn.net/thumb/C100x10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LDp%2Fimage%2FLA8bxzaLG6Y-l4w_qkDouZ-w1LQ.jpeg
/@@gLDp
100100부산포 (釜山浦) III - 기쁨도 슬픔도 모두 다~~~
/@@gLDp/145
" 뭐라~~~ 벌써 구키와 와키자카 병력이 육지로 이동했다?" 버럭 화를 내고 있는 이는 스물을 갓 넘긴 도요토미 히데요시( 豊臣秀吉 풍신수길)의 조카 도요토미 히데카스 (豊臣秀勝 풍신수승)였다. " 태합전하의 명이라 한들 어찌 일부만 남기고 육지 산으로 기어 들어간단 말이냐? 어찌? " 히데카스의 격노는 사그라들 줄 모르고 있었다. " 장군~~ 조센<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LDp%2Fimage%2FomUlYI6UMMGaOxfmfjZ3bjXQGmg.jpg" width="320" />Sat, 05 Apr 2025 19:06:33 GMTAnother time 자축인묘/@@gLDp/145행복 (시낭송) - 유치환 님의 행복을 낭송합니다.
/@@gLDp/144
안녕하십니까 작가님 그동안 평안하셨는지요 벌써 한 달이 지나 4월로 접어들었습니다. 오늘은 김인숙 작가님의 책과 여행, 삶을 만나다 장사도 편에 소개되었던 청마 유치환 님의 행복을 낭송해 봅니다. 사랑하는 이영도 시조 시인을 그리워하며 매일 편지를 쓰는 것을 행복으로 여긴 시인의 마음을 눈을 감고 따라가 보시기를 기대해 보겠습니다. 행복 유치환 사랑하<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LDp%2Fimage%2F4tDmqh6Kv-aImiytkcN6f2gWLK0.jpg" width="500" />Tue, 01 Apr 2025 17:34:03 GMTAnother time 자축인묘/@@gLDp/144부산포 (釜山浦) II - 왜는 왜대로 & 조선은 조선대로 ( 싹트는 파벌싸움...)
/@@gLDp/143
" 우장군~~~ 자네가 이번 출정에선 우부장(右部將)을 맡아 선봉에 서 주시게!!! 큰 역할이니 만큼 해야 될 것이 많을 것이네... 알겠는가 우장군!!!" 좌수사 신(臣)은 가장 믿을 만한 장수인 우장군을 선봉 우부장(右部將 )에 발탁하고 전열을 가다듬고 있었다. " 하모예~~ 장군님요~~ 우야둔동 빼를 갈아가 왜넘덜 박살을 내겠습니더 ~~ 걱정하지<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LDp%2Fimage%2FL1XHjr97h3sTu6JfN5QCNmKA49A.jpg" width="486" />Sat, 29 Mar 2025 16:28:03 GMTAnother time 자축인묘/@@gLDp/143부산포 (釜山浦) I - 왜적의 자중지란 ( 自中之亂 )
/@@gLDp/142
" 뭐라?? 한산에서 대패를 했다?? 이런 이런 이런~~~~ 칙쇼!!!! 그 많은 인원 모조리 물고기 밥으로 만든 와키자카는 뭐 하는 놈이더냐???" 소식을 듣고 열을 내는 이는 왜군이 신으로 받들어 부른다는 관백(觀白) 태합(太閤) 도요토미 히데요시 (풍신수길豐臣秀吉)였다. " 하이!!! 태합 전하~~ 와키자카는 모든 선단을 잃고 무인도(無人島)에서<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LDp%2Fimage%2FpxYz3LRfKGmID01TLGpZdFJXADE.jpg" width="500" />Sat, 22 Mar 2025 15:00:08 GMTAnother time 자축인묘/@@gLDp/142한산(閑山) 달 밝은 밤에 III - 긴 칼 옆에 차고...
/@@gLDp/141
" 그래~~ 자네들 고향이 가덕도(加德島)라 했던가?" 좌수사 신(臣)은 세작들에게 묻고 있었다. " 예~~ 장군님요... 지들 고향이 가덕 맞십니더... 우덜 어매하고 처 자슥덜이 우예 됬는강 아무도 모른다 아입니꺼... 아마도 폭풍 칫든 밤을 제삿날로 알고 있을낍니더... " 세작들 눈에서는 금방이라도 쏟아질 듯 눈물이 맺히고 있었다. " 그래..<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LDp%2Fimage%2FiwUOeZWc_2tKZY9eIiJD_bjrIDQ.jpg" width="243" />Sat, 15 Mar 2025 16:43:37 GMTAnother time 자축인묘/@@gLDp/141한산(閑山) 달 밝은 밤에 II - 이중간첩... 세작(細作)이 세작(細作) 되면...
/@@gLDp/140
" 장군~~ 좌수사 장군~ 세작(細作) 질 하는 간자를 추포 했나이다 장군~~~" 고하는 이는 좌수사 신(臣)을 보좌하는 부장 송장군이었다. 하늘을 찌를 기세로 역방향으로 자란 시꺼먼 수염은 송장군을 마치 사천왕상(四天王象)의 주인공으로 만들고 있었다. " 이놈들!!!! 어디 세작질 할 때가 없어 한산(閑山)에서 세작질을 하느냐 이놈!!!!... 어디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LDp%2Fimage%2FmGrNg9vPEfDJf9Wm00XlcQ47hrU.jpg" width="494" />Sat, 08 Mar 2025 15:06:05 GMTAnother time 자축인묘/@@gLDp/140상흔 (시낭송) - 라이테 작가님의 시를 읊어봅니다...
/@@gLDp/139
평안하게 잘 지내셨는지요 작가님~~ 벌써 꽃피는 3월이네요 오늘은 라이테 작가님의 '상흔'이란 시를 낭송해 봅니다. 배려와 댓글의 여왕님이신 라이테 작가님의 시를 마음을 담아 읊어 봅니다. 눈을 감고 느껴보시기를 기대해 보겠습니다. 상흔 라이테 내겐 예쁜 그릇이 있어. 방향도 일정하지 않은 상흔이 길고 짧게 마구잡이로 빗금 그어진 조금은 오래된 그릇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LDp%2Fimage%2F8aBoY7orUkVRuW-A6cSDWWenA7c.jpeg" width="500" />Mon, 03 Mar 2025 14:58:29 GMTAnother time 자축인묘/@@gLDp/139한산(閑山) 달 밝은 밤에 I - 먹고 산다는 것...
/@@gLDp/138
'장차 이 일을 어찌할거나~~~' 수루에 홀로 앉아 망산(望山 293M)을 바라보는 신(新)의 눈가엔 촉촉한 이슬 방울이 맺히고 있었다. 옥포, 사천을 포함 연전연승(連戰連勝 )을 하고 있는 전라좌수사 이신(李臣)은 오늘도 묵상(默想)을 하며 조선의 앞날을 걱정하고 있었다. ' 내 비록 남쪽은 지킨다 하나 전하가 계신 북쪽 상황이 녹록지 않다 하니...<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LDp%2Fimage%2Ftavk4oamrxc7CebRlVh17izyhy8.jpg" width="500" />Sat, 01 Mar 2025 17:26:34 GMTAnother time 자축인묘/@@gLDp/138복장(腹臟) 터지는 순간 III - 전하 이러시면 아니되옵니다 전하~~~
/@@gLDp/137
" 아니!!! 뭐라??!!" 장계(狀啓)를 읽는 도승지 이항(李恒)을 바라보며 선조는 불같이 소리를 지르고 있었다. " 김원(金元) 도원수 마저? 그럼 왜군이 코앞까지 들어온단 말이냐? 어서~~ 어서~~ 대책을 세우거라 대책을 어서~~~" 조선 임금 선조는 백성들의 안위(安危)는 살피지 않고 그저 본인 목숨만 중히 여기는 벼락 맞아도 아무 하자 없는 그<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LDp%2Fimage%2F4_94UiB1gk0wu7FTDMR26oIvByg.jpg" width="500" />Sat, 22 Feb 2025 15:03:48 GMTAnother time 자축인묘/@@gLDp/137복장(腹臟) 터지는 순간 II - 거꾸로 흐르는 강물...
/@@gLDp/136
" 아재요? 이기~~이기 우예 된 일입니꺼??? 이틀 상간에 이래 다 맹글면??" 최장군 호색은 산떠미처럼 쌓아 올린 갈대를 짚새기 꼬듯 순식간에 갈대배로 바꿔 놓은 분성꼴 백성들을 보며 감탄의 감탄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 장군님~~ 한시가 급하지 않습니까요? 우덜한테 지시만 하셔요~~ 만드는 건 우리가 백번 천번 만들 수 있어요~~~ 안 그렇나?<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LDp%2Fimage%2FaUzQwM3dihjFq2Jq_iYo2_103UU.jpg" width="500" />Sat, 15 Feb 2025 15:39:16 GMTAnother time 자축인묘/@@gLDp/136복장(腹臟) 터지는 순간 I - 복장 터지는 선조,김장군,서희,왜(倭)... 그나마 백성이 있으므로
/@@gLDp/134
" 아니~~~ 뭐라?~~~ 임금이 없다??!! 그게 말이 되느냐???" 조선의 심장 한성(漢城)을 탈환한 왜군 선봉장 고니시는 보고를 하는 미우라를 바라보았다. " 하이!!! 장군! 그렇사옵니다 장군~~ 믿기 어려운 일이지만 사실이옵니다... 장군~~~" 보고를 하는 부장 미우라도 믿을 수 없다며 수장(首長) 고니시(소서행장 小西行長)를 향해 고하고 있었<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LDp%2Fimage%2FwnwDIBLi4ACAfLQgaxgKJ_mo0hY.jpg" width="500" />Sat, 08 Feb 2025 19:35:54 GMTAnother time 자축인묘/@@gLDp/134성탄제 (시 낭송) - 글 쓰는 오유진 작가님 의뢰 시 낭송
/@@gLDp/132
작가님들 그동안 평안하셨는지요? 오늘은 글쓰는 오유진 작가님께서 말씀하신 시인 김종길님의 성탄제를 낭송해 봅니다. 눈을 감고 가족의 온기를 느껴보시기를 기대해 보겠습니다. 성탄제 김종길 어두운 방 안엔 빠알간 숯불이 피고, 외로이 늙으신 할머니가 애처로이 잦아드는 어린 목숨을 지키고 계시었다. 이윽고 눈 속을 아버지가 약을 가지고 돌아오시었다. 아<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LDp%2Fimage%2FpCGfz5Nj9mLiTP5_9C3uENrggII.jpg" width="500" />Mon, 03 Feb 2025 13:18:42 GMTAnother time 자축인묘/@@gLDp/132몽진 (蒙塵) III - 어디로 갈거나?
/@@gLDp/133
" 뭣들하고 있는 것이냐~ 빨리 채비를 할 것이야 어서~~" 파천을 준비하는 내금위장 (內禁衛將) 박성(朴聲)의 고함소리가 들리고 있었다. 그때였다 " 전하~~~ 어찌 궁(宮)을 버리고 가신단 말입니까? 이는 조선을 버린단 말과 다르지 않사옵니다~~ 부디 통촉하여 주시옵소서 전하~~~" 궁(宮 ) 밖에서 통곡하며 울부짖는 이가 있었으니 왕실의 종친인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LDp%2Fimage%2FzsPvcgHXBlq-rF0oBAQCyExt4LQ.jpg" width="474" />Sat, 01 Feb 2025 15:01:12 GMTAnother time 자축인묘/@@gLDp/133몽진 (蒙塵) II - 백성이 먼저인가? 임금이 먼저인가?
/@@gLDp/131
“ 아이 이기 우찌된 일이고? 간다카고 가지만 서도 어데가 길이고? 으잉?” 수풀을 헤치며 헤매는 이는 최장군 호색이었다. “ 근마는 분미 이 짝 길로 지 살끼라꼬 같을 낀데? 아이고~~ 무시라 무시라 어째 가도 가도 마카 풀떼기만 있는 기고?....” 탄금대에서 삼십육계( 三十六計) 줄행랑을 친 김장군을 찾는 최장군 호색의 발걸음이 바빠지고 있었다.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LDp%2Fimage%2FfWZXNvpIL7HTmFoM9pODG6_ISgM.jpg" width="500" />Sun, 26 Jan 2025 07:13:15 GMTAnother time 자축인묘/@@gLDp/131몽진 (蒙塵) I - 왜? 왜? 왜?
/@@gLDp/130
" 엄니~~ 방법이 없습니다... 이걸 우리 희(戱 )한테 줘야 되겠습니다. " 희(戱) 어머니 최간(崔姦)에게 물건을 전하는 이는 희(戱) 오빠 서사(徐邪)였다. "엄니~ 이게 마지막입니다. 저도 더는 너무 비싸 구할 도리가 없습니다. 이걸로 어찌 됐던 해결을 봐야 되겠어요.... 그러니 오늘밤 이모님을 통해 궁(宮)으로 이걸 꼭 전해야 됩니다. 그리<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LDp%2Fimage%2FO0Mt7bXnyx-HpCBSwAelEQal_xo.jpg" width="500" />Sat, 18 Jan 2025 16:54:43 GMTAnother time 자축인묘/@@gLDp/130남자의 인생(낭송) - 도윤 작가님 의뢰 낭송
/@@gLDp/129
작가님들 평안하신지요? 오늘은 도윤 작가님께서 말씀하신 나훈아님의 남자의 인생을 낭송해 봅니다. 강한 것 같지만 여린 것이 또한 아버지의 인생이 아닐까 싶습니다. 조용히 눈을 감고 느껴보시기를 기대해 봅니다. 남자의 인생 나훈아 어둑어둑 해 질 무렵 집으로 가는 길에 빌딩 사이 지는 노을 가슴을 짠하게 하네 광화문 사거리서 봉천동까지 전철 두 번 갈<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LDp%2Fimage%2F8lkGDwyEYRvN8YI0w9WxiqroTTQ.jpg" width="381" />Tue, 14 Jan 2025 12:37:38 GMTAnother time 자축인묘/@@gLDp/129사천(泗川) 거북을 말하다 III - 사필귀정(事必歸正 ) 거북은 말했다...
/@@gLDp/128
" 아니 이게 무슨 소리란 말인가?" 두려움에 떨고 있는 왜군들 눈앞에는 가히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 벌어지고 있었다. "쿠궁~~ 쿠궁~~~" 왜선(倭船) 세키부네 측면에선 마치 벼락이 치듯 천둥소리가 들리고 있었다. "빠지직~~ " 도깨비 형상의 귀선(龜船) 뱃머리는 거칠 것이 없었다. 보이는 족족 왜선 세키부네를 들이박고 있었다. 듣도 보도 못한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LDp%2Fimage%2FhTzCRmkD7Z8E7E82_-hRNshdTjE.jpg" width="500" />Sat, 11 Jan 2025 19:04:14 GMTAnother time 자축인묘/@@gLDp/128사천(泗川) 거북을 말하다 II - 귀선(龜船) 괴물 거북선은 말한다...
/@@gLDp/127
달빛이 스며드는 해(該) 시 신(臣)은 사천 앞바다가 훤히 보이는 수루(戍樓)에 홀로 서 있었다. 스산한 바람은 신(臣)의 목덜미를 스쳐 지나고 있었다. ' 흠... 유월 초사흘... 흠...' 출정 시간이 다가오면 올수록 신은 말수가 적어지고 묵상(默想) 시간이 늘었다. 그의 머릿속은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 해야 되는지 육하원칙(六<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LDp%2Fimage%2FwvmxPU80qF6K88vDrO1vgs_jaFY.jpg" width="500" />Sat, 04 Jan 2025 17:22:50 GMTAnother time 자축인묘/@@gLDp/127 사천(泗川) 거북을 말하다 I - 귀선(龜船 ) 거북선은 괴물(怪物)인가?
/@@gLDp/125
" 칙쇼!!! 조센~~~ 조센~~~~ 조센~~~~ 이신(臣)~~~~ 신(臣)~~~~" 옥포 해전에서 첫 패배의 쓴맛을 본 도도 유키나카는 치욕을 감당할 길이 없었다. " 좌수사 이신(臣)이 누구냔 말이다~~~~??!! 이신(臣)~~~~!!!!" 육지와 해전에서 승승장구 (乘勝長驅) 하던 왜군에게 첫 패배를 선물한 이신(臣)이 누구냐며 왜장 도도는 분노를<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LDp%2Fimage%2FjMMrFsniFEJ0xVm_841xJ-p3rig.jpg" width="500" />Sat, 28 Dec 2024 17:54:40 GMTAnother time 자축인묘/@@gLDp/125고향 - 고향 시낭송 (백석)
/@@gLDp/126
작가님들 무탈하신지요? 오늘은 복잡하고 어지러운 현 상황에 조금이나마 마음을 추스르고 평정심을 찾으시기를 바라는 마음에 잔잔한 시 한 편 낭송해 봅니다. 모든 작가님들 가정에 평안이 깃들기를 바래봅니다. 고향 백석 나는 북관에 혼자 앓아 누워서 어느 아침 의원을 뵈이었다. 의원은 여래 같은 상을 하고 / 관공의 수염을 드리워서 먼 옛적 / 어느 나<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LDp%2Fimage%2FIMq7X037Q5byRdDuBnA-db_ZWwA.jpg" width="500" />Wed, 25 Dec 2024 11:47:17 GMTAnother time 자축인묘/@@gLDp/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