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Ni /@@g2hP SANi: S-Saju(사주), A-Art(예술), N-Nature(자연), i-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ko Tue, 08 Apr 2025 11:06:15 GMT Kakao Brunch SANi: S-Saju(사주), A-Art(예술), N-Nature(자연), i-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img1.daumcdn.net/thumb/C100x10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2hP%2Fimage%2FPCjXNQwhU0QYRpS3YmydL69B02g.PNG /@@g2hP 100 100 계절명상 - 우수(雨水) - 봄비 /@@g2hP/189 계절명상 우수(雨水) 춘우(春雨): 봄비의 시간 1. 개요 우수(雨水)는 &lsquo;비가 내리기 시작한다&rsquo;는 뜻으로, 24절기 중 두 번째 절기다. 태양이 황경(黃經) 330&deg;에 도달하는 시점으로, 대략 양력 2월 19일경에 해당한다. 우수는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중요한 변곡점이 되며, 대지를 덮었던 눈이 녹고 비로 바뀌면서 본격적인 해빙기가 시<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2hP%2Fimage%2F2EbzhFDI3UfJKlYpcQgHpP5ag5E.jpg" width="500" /> Wed, 12 Feb 2025 12:24:42 GMT SANi /@@g2hP/189 계절명상-입춘(立春) - 춘향(春香) /@@g2hP/188 입춘(立春) 춘향(春香): 봄의 향기 1. 개요 입춘(立春)은 &lsquo;봄이 들어서다&rsquo;는 뜻으로, 24 절기의 첫 번째 절기다. 태양이 황경(黃經) 315&deg;에 도달하는 시점으로, 대략 양력 2월 4일경에 해당한다. 이 절기는 겨울의 끝자락에서 봄이 시작되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동양에서는 새로운 기운을 맞이하는 날로 여겨져 다양한 풍속과 전통이 전해져 내려온다<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2hP%2Fimage%2FiDjGXFTB3EBkbn4dufnwxwAkU4s.jpg" width="500" /> Mon, 10 Feb 2025 08:24:55 GMT SANi /@@g2hP/188 운명의 문장(命章) - 무명(無名) -『도덕경』 1장 /@@g2hP/187 오늘의 명장(命章) 道可道 非常道 名可名 非常名(도가도 비상도 명가명 비상명) 無 名天地始 有 名萬物母(무 명천지시 유 명만물모) 常無欲觀其妙 常有欲觀其徼(상무욕관기묘 상유욕관기요) 此兩者 同出而異名(이양자 동출이이명) 同謂之玄 玄之又玄 衆妙之門(동위지현 현지우현 중묘지문) 『도덕경』 1장 도를 말로 표현할 수 있다면&nbsp;그것은 참된 도가 아니다. 이름을<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2hP%2Fimage%2FZ93nzABxLDknvEVAjEkIB-LYVcg.jpg" width="500" /> Tue, 04 Feb 2025 09:24:27 GMT SANi /@@g2hP/187 운명의 문장(命章) - 박사(樸士) -&nbsp;『도덕경』 81장 /@@g2hP/186 오늘의 명장(命章) 信言不美 美言不信(신언불미 미언불신) 善者不辯 辯者不善(선자불변 변자불선) 知者不博 博者不知(지자불박 박자부지) 聖人不積(성인부적) 旣以爲人己愈有(기이위인기유유) 旣以與人己愈多(기이여인기유다) 天之道 利而不害(천지도 이이불해) 聖人之道 爲而不爭(성인지도 위이부쟁) 『도덕경』 81장 믿을 수 있는 말은 소박하고, 꾸며진 말은 믿을 수<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2hP%2Fimage%2Fdz6BkaI1EhbxAW_H4d59RU60AqI.jpg" width="500" /> Mon, 03 Feb 2025 05:48:07 GMT SANi /@@g2hP/186 운명의 문장(命章) - 빛과 그림자 -&nbsp;『도덕경』 7장 /@@g2hP/185 오늘의 명장(命章) 天長地久(천장지구) 天地所以能長且久者 以其不自生(천지소이능장차구자 이기불자생) 故能長生(고능장생) 是以聖人後其身而身先 外其身而身存(시이성인후기신이신선 외기신이신존) 非以其無私邪(비이기무사사) 故能成其私(고능성기사) 『도덕경』 7장 하늘은 땅은 영원하다. 하늘과 땅이 오래 지속될 수 있는 까닭은 자기 자신만을 위해서 살지 않기 때문이<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2hP%2Fimage%2FM0dT-JszaZiyZfe8-PUD9ROm0I8.jpg" width="500" /> Sun, 02 Feb 2025 09:10:35 GMT SANi /@@g2hP/185 운명의 문장(命章) - 무한동력 -&nbsp;『도덕경』 6장 /@@g2hP/184 오늘의 명장(命章) 谷神不死(곡신불사) 是謂玄牝(시위현빈) 玄牝之門&nbsp;是爲天地根(현빈지문 시위천지근) 綿綿若存 用之不勤(면면약존 용지불근) 『도덕경』 6장 (골짜기처럼 비어있는 신령함과 같은) 자연의 근원적 원리는 사라지지 않는다. 이것을 깊고 아득한 생성의 원리(玄牝-만물의 어미)라 부른다. 이 현빈의 문을 두고 천지의 근원이라 부른다. 끊임없이 이어<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2hP%2Fimage%2FDNZWrDgc2LC1ntJtBxd9TGeGXh8.jpg" width="500" /> Sat, 01 Feb 2025 04:35:25 GMT SANi /@@g2hP/184 운명의 문장(命章) - 미지 -&nbsp;『도덕경』 4장 /@@g2hP/183 오늘의 명장(命章) 道冲而用之 或不盈(도충이용지 혹불영) 淵兮 似萬物之宗(연혜사만물지종) 挫其銳 解其紛 和其光 同其塵(좌기예 해기분 화기광 동기진) 湛兮 似或存(잠혜 사혹존) 吾不知誰之子 象帝之先(오부지수지자 상제지선) 『도덕경』 4장 도는 비어있으나 그것을 사용해도 줄어들지도&nbsp;넘치나지도 않는다. 도는 깊고 아득하니 만물의 근원인 듯하다. 도는 날카로<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2hP%2Fimage%2FRshN-LnPJINN7zJ6SSMDTD8vyHw.JPG" width="500" /> Fri, 31 Jan 2025 04:02:16 GMT SANi /@@g2hP/183 운명의 문장(命章) - 탈주 -&nbsp;『도덕경』 3장 /@@g2hP/182 오늘의 명장(命章) 不尙賢 使民不爭(불상현 사민부쟁) 不貴難得之貨 使民不爲盜(부귀난득지화 사민불위도) 不見可欲 使民心不亂(불견가욕 사민심불난) 是以聖人之治 (시이성인지치) 虛其心 實其腹(처기심 실기복) 弱其志 強其骨(양기지 강기골) 常使民無知無欲(상사민무지무욕) 使夫知者不敢爲也(사부지자불취위야) 爲無爲 則無不治(위무위 즉무불치) 『도덕경』 3장 똑똑함<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2hP%2Fimage%2F84NtseKegFkkP6R3o4uiKTblsFE.jpg" width="500" /> Thu, 30 Jan 2025 07:04:32 GMT SANi /@@g2hP/182 운명의 문장(命章) - 자치 -&nbsp;『도덕경』 80장 /@@g2hP/181 오늘의 명장(命章) 小國寡民(소국과민) 使有什伯之器而不用(사유십백지기이불용) 使民重死而不遠徙(사민중사이불원사) 雖有舟輿 無所乘之(수용주여 무소승지) 雖有甲兵 無所陳之(수유갑병 무소진지) 使民復結繩而用之(사민복결승이용지) 甘其食 美其服(감기식 미기복) 安其居 樂其俗(안기거 락기속) 鄰國相望 雞犬之聲相聞(인국상망 계개지청상문) 民至老死 不相往來(민지노사 불상<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2hP%2Fimage%2Flu8hTrc0FnFM_c7KjY1TZZFXoCU.jpg" width="500" /> Wed, 29 Jan 2025 12:21:57 GMT SANi /@@g2hP/181 운명의 문장(命章) - 화해 - 『도덕경』 79장 /@@g2hP/180 오늘의 명장(命章) 和大怨 必有餘怨(화대원 필유여원) 安可以爲善(안가이위선) 是以聖人執左契 而不責於人(시이성인집좌계 이불책어인) 有德司契 無德司徹(유덕사계 무덕사철) 天道無親 常與善人(천도무친 상여선인) 『도덕경』 79장 큰 원한을 화해시키려 하면, 반드시 여한이 있게 된다. 무엇을 일러 선이라고 할 수 있겠는가. 이에 성인은 왼손에 계약서를 들고도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2hP%2Fimage%2FwaedLUsNnDBuDMR7_i65CYzSpkM.jpg" width="500" /> Tue, 28 Jan 2025 10:21:03 GMT SANi /@@g2hP/180 운명의 문장(命章) - 초대 - 『도덕경』 78장 /@@g2hP/179 오늘의 명장(命章) 天下莫柔弱於水(천하막유약어수) 而攻堅強者莫之能勝(이공견강자막지능승) 以其無以易之(이기무이역지) 弱之勝強柔之勝剛(약지승강유지승강) 天下莫不知莫能行(천하막부지막능행) 是以聖人云(시이성인운) 受國之垢是謂社稷主(수국지구시위사직주) 受國不祥是謂天下王(수국불상시위천하왕) 正言若反(정언약반) 『도덕경』 78장 천하에 물보다 부드럽고 연한 것은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2hP%2Fimage%2Fi0bnQv4cblAFW6gA6Yk7zF_7ZXY.jpg" width="500" /> Mon, 27 Jan 2025 08:57:05 GMT SANi /@@g2hP/179 운명의 문장(命章) - 생존본능 - 『도덕경』 76장 /@@g2hP/178 오늘의 명장(命章) 人之生也柔弱(인지생야유약) 其死也堅強(기사야견강) 萬物草木之生也柔脆(만물초목지생야유취) 其死也枯槁(기사야고고) 故堅強者死之徒(고견강자사지도) 柔弱者生之徒(유약자생지도) 是以兵強則不勝 木強則折(시이병강즉불승 목강즉절) 強大處下 柔弱處上(강대처하 유약처상) 『도덕경』 76장 사람이 살아서는 부드럽고 연하지만, 죽으면 굳고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2hP%2Fimage%2F2JZdx9bBDickA9MfpBK-wO4Xzew.jpg" width="500" /> Sun, 26 Jan 2025 07:08:48 GMT SANi /@@g2hP/178 운명의 문장(命章) - 취향 -&nbsp;『도덕경』 75장 /@@g2hP/177 오늘의 명장(命章) 民之飢(민지기) 以其上食稅之多 是以飢(이기상식세지다 시이기) 民之難治(민지난치) 以其上之有爲 是以難治(이기상지유의 시이난치) 民之輕死(민지경사) 以其求生之厚 是以輕死(이기구생지후 시이경사) 夫唯無以生爲者(부유무이생위자) 是賢於貴生(시현어귀생) 『도덕경』 75장 백성이 굶주리는 것은, 지배자들이 세금을 너무 많이 걷기 때문이니, 그래<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2hP%2Fimage%2FAtmm7UYutgEBbatQAGY_mYaAeYM.jpg" width="500" /> Sat, 25 Jan 2025 05:23:16 GMT SANi /@@g2hP/177 운명의 문장(命章) - 담론 -&nbsp;『도덕경』 73장 /@@g2hP/176 오늘의 명장(命章) 勇於敢則殺(용어감즉살) 勇於不敢則活(용어불감즉활) 此兩者 或利或害(차양자 혹리혹해) 天之所惡 孰知其故(천지소오 숙지기고) 是以聖人猶難之(시이성인유난지) 天之道(천지도) 不爭而善勝 不言而善應(부쟁이선승 불언이선응) 不召而自來 繟然而善謀(불소이자래 천연이선모) 天網恢恢 踈而不失(천망회회 소이불실) 『도덕경』 73장 용기랍시고 감히 나서<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2hP%2Fimage%2FBWj0SD9pRdXTcSc74vV8sm12iXk.jpg" width="500" /> Fri, 24 Jan 2025 08:43:31 GMT SANi /@@g2hP/176 운명의 문장(命章) - 보이지 않는 힘 -&nbsp;『도덕경』 72장 /@@g2hP/175 오늘의 명장(命章) 民不畏威 則大威至(민불외위 즉대위지) 無狎其所居 無厭其所生(무압기소거 무염기소생) 夫唯不厭 是以不厭(부유불염 시이불염) 是以聖人自知不自見(시이성인자지불자견) 自愛不自貴(자애불자귀) 故去彼取此(고거피취차) 『도덕경』 72장 백성이 지배자의 권위를 두려워하지 않을 때, 비로소 큰 권위가 출현한다. 백성이 머무는 곳을 억압하거나 그들의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2hP%2Fimage%2FF5knzlCNsuk53W8KdA2E_OHqY_M.jpg" width="500" /> Thu, 23 Jan 2025 03:40:05 GMT SANi /@@g2hP/175 운명의 문장(命章) - 권위 -&nbsp;『도덕경』 74장 /@@g2hP/174 오늘의 명장(命章) 民不畏死&nbsp;奈何以死懼之(민불외사&nbsp;내하이사구지) 若使民常畏死 而爲奇者 (약사민상외사 이위기자) 吾得執而殺之&nbsp;孰敢(오득집이살지 숙감) 常有司殺者殺(상유사살자살) 夫司殺者 是大匠斲(부사살자 시대장착) 夫代大匠斲者(부대대장착자) 希有不傷其手矣(희유불상기수의) 『도덕경』 74장 백성들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으면, 어찌 죽음으로 그들을 두렵게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2hP%2Fimage%2FNX6j8lymG9JKEgLlFg5O44OkAhg.jpg" width="500" /> Wed, 22 Jan 2025 05:37:22 GMT SANi /@@g2hP/174 운명의 문장(命章) - 느긋함 -&nbsp;『도덕경』 69장 /@@g2hP/173 오늘의 명장(命章) 用兵有言(용병유언) 吾不敢爲主 而爲客(오불감위주 이위객) 不敢進寸 而退尺(불감진촌 이퇴척) 是謂行無行 攘無臂 扔無敵 執無兵(시위행무행 양무비&nbsp;잉무적 집무병) 禍莫大於輕敵(화막대어경적) 輕敵幾喪吾寶(경적기상오보) 故抗兵相加 哀者勝矣(고항병상가&nbsp;애자승의) 『도덕경』 69장 군사를 쓰는데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 나는 감히 주도하지 않고<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2hP%2Fimage%2FLZ-wCaIb-uSQuJeSoM5tohcActc.jpg" width="500" /> Tue, 21 Jan 2025 01:40:54 GMT SANi /@@g2hP/173 운명의 문장(命章) - 믿음 -&nbsp;『도덕경』 65장 /@@g2hP/172 오늘의 명장(命章) 古之善爲道者 非以明民 將以愚之(고지선위도자 비이명민 장이우지) 民之難治 以其智多(민지난치 이기지다) 故以智治國 國之賊(고이지치국 국지적) 不以智治國 國之福(불이지치국 국지복) 知此兩者亦?式(지차양자역계식) 常知?式 是謂玄德(상지계식 시위현덕) 玄德深矣 遠矣 與物反矣&nbsp;(현덕심의 원의 여물반의) 然後乃至大順( 연후내지대순) 『도덕경』<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2hP%2Fimage%2Fpbu3OSZbYQ-4XoJmdx3gzzHNzE4.jpg" width="500" /> Mon, 20 Jan 2025 07:39:38 GMT SANi /@@g2hP/172 운명의 문장(命章) - 힘 너머의 힘 -&nbsp;『도덕경』 68장 /@@g2hP/171 오늘의 명장(命章) 善爲士者不武(선위사자불무) 善戰者不怒(선전자불노) 善勝敵者不與(선승적자불여) 善用人者爲之下(선용인자위지하) 是謂不爭之德(시위부쟁지덕) 是謂用人之力(시위용인지력) 是謂配天古之極(시위배천고지극) 『도덕경』 68장 훌륭한 전사는 무력을 앞세우지 않는다. 훌륭한 싸우는 자는 분노하지 않는다. 훌륭히 적을 이기는 자는 함께 맞서 다투지 않는<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2hP%2Fimage%2FoMSUdct6O5NsGzrjFrMx5ebWpCg.jpg" width="500" /> Sun, 19 Jan 2025 06:41:56 GMT SANi /@@g2hP/171 운명의 문장(命章) - 성실 -&nbsp;『도덕경』 71장 /@@g2hP/170 오늘의 명장(命章) 知不知上(지부지상) 不知知病(부지지병) 夫唯病病 是以不病(부유병병 시이불병) 聖人不病 以其病病 是以不病(성인불병 이기병병 시이불병) 『도덕경』 71장 아는 것을 모른다고 여기는 것이 상이다. 모르는 것을 안다고 여기는 것은 병이다. 오직 병이 병임을 알기에 병이 되지 않는다. 성인이 병들지 않음은 그 병이&nbsp;병임을 알기 때문이다.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2hP%2Fimage%2FAUBmEDLUdM51-EqEL5pB-kgDrrA.jpg" width="500" /> Sat, 18 Jan 2025 07:13:14 GMT SANi /@@g2hP/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