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yeom
/@@7Ekz
Crypto BoykoSat, 05 Apr 2025 19:48:39 GMTKakao BrunchCrypto Boy//img1.daumcdn.net/thumb/C100x10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Ekz%2Fimage%2FF9BYvpRo1u5lKbmgGkw7ls_e6Pw
/@@7Ekz
1001002023년을 돌이켜보며! - 나, 꽤나 잘 살았을지도
/@@7Ekz/16
나 겸(Gyeom), 대체로 우직한 사나이라지만 연말의 분위기 속에서 마음이 붕 뜨는 것은 어쩔 수 없는 듯하다. 크리스마스지만 마땅한 약속 없이 스터디 카페에 앉아 크립토 차트와 블록체인 리서치를 들여다보던 와중, 흐트러진 심신을 정리하기 위해 2023년 한 해를 돌이켜보는 글을 적어보고자 한다. CAREER 1. 졸업 아아, 올해엔 2018년부터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Ekz%2Fimage%2Fyj2ZjxBYSRKF5DwlnRA1o9LLvXs.png" width="500" />Mon, 25 Dec 2023 16:50:42 GMTGyeom/@@7Ekz/16Yield-Bearing 토큰의 향방이 기대되는 이유 - Yield-Bearing Token의 현황과 전망을 살펴보자!
/@@7Ekz/15
본 리서치는 학술적 연구 및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본 리서치에 포함된 어떠한 내용도 투자 조언이 아니며 투자 조언으로 해석되어서도 안됩니다. TL;DR 1)Yield-Bearing Token(이하 YB토큰)은 단순히 토큰을 보유하는 것만으로도 보유자에게 이자 수익을 제공하는 토큰을 말한다. 담보 자산을 기반으로 추가적인 이자 수익을 내는 Y<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Ekz%2Fimage%2FkgjhZn26tbZJ9tPYacGgRjp63T8.jpg" width="500" />Sun, 03 Dec 2023 11:40:23 GMTGyeom/@@7Ekz/15공연과 NFT의 결합(3) - 나의 동료가 되어라! NFT 커뮤니티를 형성해보자
/@@7Ekz/11
이전 글, 공연과 NFT의 결합(2)에 이어서 https://twitter.com/racs_o/status/1454781053126721536?s=20 https://twitter.com/BenMauroArt/status/1457516063327875074?s=20 왜 이들은 요상한 모양의 유인원 일러스트를 중심으로 이토록 모여있는 것일까? 트위터<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Ekz%2Fimage%2FdOUX8l8nmI8BqHw7dAlX00CyD84.jpg" width="500" />Sun, 28 Nov 2021 09:10:56 GMTGyeom/@@7Ekz/11공연과 NFT의 결합(2) - NFT 공연기획 3요소 순환모델
/@@7Ekz/10
이전 글, 공연과 NFT의 결합(1)에 이어서 공연이란 무엇이냐. "극장이나 야외 공간에서 관객에게 연극 · 무용 · 음악 따위를 연출하고 공개하는 행위” 정도로 정의할 수 있겠다. ‘극장이나 야외 공간에서’, 분명하게 공연장이라고 우리가 부르는 물리적 공간에서 일어나는 일이다. ‘관객에게’, 뚜벅뚜벅 공연장으로 걸어와 관객석에 앉아 감상해주고 박수도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Ekz%2Fimage%2Fk4FQ1omNo5kgv-12x01ro3dDTww.jpg" width="500" />Tue, 23 Nov 2021 13:14:04 GMTGyeom/@@7Ekz/10공연과 NFT의 결합(1) - NFT를 통해 보는 공연예술의 확장가능성!
/@@7Ekz/9
현재 NFT아트 씬을 돌이켜볼 때, 3D 그래픽, 픽셀아트, 일러스트, 모션그래픽, 콜라주 아트 등과 같이 디지털에 근간을 두고 있는 이른바 ‘디지털 아트’라고 통칭되는 형식의 예술작품들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이미 Beeple, Fewocious, Mr.misang 등의 유명 NFT 아티스트들의 작품은 더할 나위 없는 참고서가 되어준다. 나아가<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Ekz%2Fimage%2F_cUmDkM_JzjRfr0D5m5y-dK2w-Q.jpg" width="500" />Tue, 16 Nov 2021 05:41:26 GMTGyeom/@@7Ekz/9예술가는 왜 가난해야 하는가(2) - 순수예술의 신화성과 그 대안으로의 NFT
/@@7Ekz/8
이전 글, 예술가는 왜 가난해야 하는가(1)에 이어서 예술가 개인들과 다양한 규모의 화랑들이 모여 예술품의 판매를 주목적으로 하는 행사인 아트페어는 이미 국내외로 큰 관심을 받으며 주류 예술품 거래 시스템으로 자리하였기 때문에 그다지 첨언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다만 최근에 ‘Beeple’이나 국내의 ‘미스터 미상’과 같은 디지털 아티스트들의 NFT 작품<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Ekz%2Fimage%2FX3lrAYxkjbKpDgmAhPZ1RHbhASA.png" width="419" />Sat, 04 Sep 2021 10:17:07 GMTGyeom/@@7Ekz/8예술가는 왜 가난해야 하는가(1) - 순수예술의 신화성과 그 대안으로의 NFT
/@@7Ekz/7
우리 사회에는 ‘예술’이라는 기표가 갖고 있는 신화가 존재한다. 예술이 지나치리만치 위대하거나 숭고한 것으로 포장되듯 예술은 세속의 유혹을 끊임없이 극복해야 할 것 같으며 언제나 기성사회의 안티테제이자 시대의 대변자로 역할해야만 한다. 또는 자본과 대중성과 타협하지 않는 고집불통의 외골수가 마치 자유로웁고 진정한 예술가로 인식되는 아주 위험한 신화이다. 이<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Ekz%2Fimage%2F1fMN0seUJFzwMtPI6sw9VzXbIik.png" width="419" />Sat, 04 Sep 2021 07:08:45 GMTGyeom/@@7Ekz/7NFT, 쓰레기 예술도 예술인가? - Superrare, "64 GALLON TOTOER" 검열 이슈
/@@7Ekz/6
최근 NFT 플랫폼 SuperRare에서 NFT아트와 관련해 재밌는 이슈가 있었다. 크립토 아티스트 커뮤니티 사이에서 ‘Trash GIF’라는 예술운동(?)이 일어났던 것인데, 사건의 발단은 Robness라는 아티스트가 Superare에 “64 GALLON TOTER”이라는 작품을 올리고 그 작품이 플랫폼에 의해 삭제되면서부터 시작된다. 미국의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Ekz%2Fimage%2FJYuEmfUGWLN5cJBW2BSHYfiEQ0k.gif" width="300" />Thu, 24 Jun 2021 04:50:52 GMTGyeom/@@7Ekz/6디지털 패션과 NFT의 결합 - ALWAYS DIGITAL, NEVER PHYSICAL
/@@7Ekz/5
ALWAYS DIGITAL, NEVER PHYSICAL SHOWING THE WORLD THAT CLOTHING DOES NOT NEED TO BE PHYSICAL TO EXIST -The Fabricant The Fabricant라는 네덜란드 디지털 패션 회사이다. "ALWAYS DIGITAL, NEVER PHYSICAL"이라는 극단적인 캐치프라이즈를<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Ekz%2Fimage%2FDmWr800QvmHnCNEW91BNn3ZMPPk.jpeg" width="450" />Mon, 14 Jun 2021 17:42:26 GMTGyeom/@@7Ekz/5한국에서도 NFT 전시가? - NUMOMO - NFT 에이전시 NUMOMO <The Token Manifesto>
/@@7Ekz/2
2021.05.07-05.15 성수에 위치한 갤러리 카페에서 NFT 아트 에이전시 NUMOMO가 <The Token Manifesto> 오프라인 전시를 개최하여 방문하였다. NUMOMO는 한국에 기반을 둔 NFT아티스트 에이전시이다. 미국계 대학 석박사 출신들의 교수 및 벤처 창업 경력이 있는 블록체인 개발자 등 다양한 커리어를 가진 세 명의 공동창업자가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Ekz%2Fimage%2FsES4cPjwed4Yr7zfCjuCca-a8bs.jpg" width="500" />Wed, 09 Jun 2021 15:31:25 GMTGyeom/@@7Ekz/2어떤 NFT가 가장 비싸게 팔릴까? - 아트 매거진Artnome의 SueprRare 데이터 통계 분석
/@@7Ekz/3
평소 Crypto Art에 대한 견문을 넓히는 데 가장 도움을 많이 받는 아트 매거진 Artnome에서 NFT 마켓 플레이스 SuperRare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Crypto Art 시장분석이 있어 공유해보려 한다. 결과부터 얘기하면, 이들이 데이터를 가지고 도출한 네 가지 인사이트는 이렇다. 1. 콜렉터들이 가장 자주 찾는 테마는 ‘Futuristi<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Ekz%2Fimage%2FYxpyR1ZMMSb0UM7fGVPAMyKJTU8.jpg" width="500" />Wed, 09 Jun 2021 15:30:15 GMTGyeom/@@7Ekz/3What is Crypto Art? - Crypto Art에 대한 개념적 고찰
/@@7Ekz/4
NFT 아트 마켓의 확대와 함께 NFT아트, 크립토 아트에 대한 미학적, 학제적 접근도 점점 더 고도화돼간다. 예술에서 작품 실체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작품의 존재적 가치를 설명해주는 이론적 뒷받침이기에 이러한 움직임은 마켓의 성숙도를 높이는 데 있어 매우 긍정적이 움직임이라고 생각한다. 먼저 미학적인 분석을 위한 지면에서는 ‘NFT Art’라는 용어보다는<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Ekz%2Fimage%2FKkUDFo1YNXaNsHQcF_iK0XSmhag.jpg" width="500" />Wed, 09 Jun 2021 15:29:30 GMTGyeom/@@7Ekz/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