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제힘 /@@4Hrd 데이터에 기반한 콘텐츠 마케팅을 좋아합니다. ko Thu, 03 Apr 2025 21:24:58 GMT Kakao Brunch 데이터에 기반한 콘텐츠 마케팅을 좋아합니다. //img1.daumcdn.net/thumb/C100x10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guest%2Fimage%2F0qDDtPDBVeU4xqR6JWblDicE9iE.JPG /@@4Hrd 100 100 1만명이 보는 뉴스레터를 만들었지만 - 그럼에도 계속해서 글을 쓰는 이유 /@@4Hrd/34 마파도 심리 상담이 필요해. 뉴스레터를 함께 쓰는 친구가 내게 해 준 말이다. 그 당시만 해도 회사에서 인정받고, 2년 넘게 만든 뉴스레터는 구독자 1만명을 바라보고 있던 때였다. 인간관계 역시 더할 나위 없이 탄탄하다고 느꼈기에 왜 내가 심리 상담이 필요하다고 얘기한지 몰랐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일과 대인관계에 있어 허전함이 생기기 시작했다. 계속해<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4Hrd%2Fimage%2Ff8ihyBif42iQKIykOkqPXofjDSw.jpg" width="500" /> Mon, 29 May 2023 16:21:01 GMT 최제힘 /@@4Hrd/34 타입폼으로 MBTI 테스트 제작기 (w. 나그참파) - 내 향기 찾기 TEST 제작기 (Feat. 인센스 &amp; 홀더 무료 제공) /@@4Hrd/33 &gt;&gt;&gt; 테스트 하고 인센스 스틱 &amp; 홀더 받아가기 뭐야, 또 심리테스트야? MBTI 없었을 때 어떻게 살았을까 하는 요즘,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심리테스트가 나오고 있다. 작년이 고점인 줄 알았는데 끝은 커녕 연말을 맞이해서 이곳 저곳에서 테스트를 제작 중이다. 하지만 MBTI 테스트가 여전히 좋은 마케팅 아이디어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1.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4Hrd%2Fimage%2Fj395Hl4bDHoI62ThU3UupbbglTQ.jpg" width="500" /> Wed, 22 Dec 2021 14:49:53 GMT 최제힘 /@@4Hrd/33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 서비스 종료가 우리에게 남긴 숙제 - 이제 무신사는 뭐해야 하나 ㅜㅜ /@@4Hrd/32 네이버 급상승 검색어가 서비스 출시 16년 만에 사라진다. 사실상 국민들이 어떤 이슈에 관심이 많은지를 알려주는 창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던 서비스가 사라진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급상승 검색어가 사라지게 된 배경에는 여론 및 광고 조작 논란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최근 조국 전 법무부 장관과 관련해서 찬반 양측이 네이버 검색어 순위를 놓고 세력 다툼<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4Hrd%2Fimage%2FA5ki4u5q_sWXPuGxF6WnqRrfcSw.jpg" width="500" /> Mon, 08 Feb 2021 08:07:41 GMT 최제힘 /@@4Hrd/32 미스트롯이 알려준 오팔세대의 힘 - 우리 브랜드, 5060세대에게 먹히는 방법 /@@4Hrd/31 트로트 전성시대가 이어지면서 5060세대의 디지털화가 급속도로 이어지고 있다.&nbsp;지니뮤직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5060세대 유료 가입자가 전년보다 14.3%로 전 세대 중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했다고 한다. 트로트 방송은 현재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방송 프로그램 이기도 한다. 미스트롯2, 사랑의 콜센타 등이 가장 즐겨보는 프로그램 1, 2위를 동시<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4Hrd%2Fimage%2F2nI0JZ_-wYqP82YJYUrGWvKu6Xg.png" width="500" /> Thu, 04 Feb 2021 15:30:35 GMT 최제힘 /@@4Hrd/31 위기의 인텔이 삼성에게 도움을 요청한 이유는? - 팀 쿡님, 리사 수 님... 한번만 살려주세요 /@@4Hrd/30 AMD의 점유율 확대와 애플의 독립 선언으로 입지를 위협받고 있는 인텔에서 삼성전자, TSMC와 손을 잡으려고 한다.&nbsp;설계 및 생산이 가능한 종합 반도체 기업(IDM)인 인텔이 최근 생산 기술력에 있어 성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텔은 현재 10nm 회로선폭 제품을 양산하고 있는데, 이보다 더 우수한 5, 7nm 초미세공정이 가능한 삼성전자와<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4Hrd%2Fimage%2F1kimTGXcA2PW_RCrQ_FzyW8RSM4.png" width="500" /> Thu, 21 Jan 2021 14:12:18 GMT 최제힘 /@@4Hrd/30 도대체 ESG 경영이 뭐길래? - 애플 너.... 그래서 충전기 뺀거였어? /@@4Hrd/29 애플은 지난해 7월 '환경적 진전 보고서'를 통해 2030년까지 탄소 배출을 제로(0)로 만들겠다고 발표했다. 어찌보면 iPhone 에서의 어댑터 제거도 이러한 창대한(?) 계획의 일부로 볼 수 있다. 물론 나는 실상은 환경 보호는 명목 상의 이유에 불구하고 비용을 절감하며 악세사리 시장의 마진을 극대화 시키려는&nbsp;애플의 꼼수 마케팅이라고 생각하지만...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4Hrd%2Fimage%2FOo-2nXgtclKNYouR9LF8la1VEuk.jfif" width="500" /> Thu, 21 Jan 2021 14:07:35 GMT 최제힘 /@@4Hrd/29 2호선에서 가장 많은 승객이 타고 내리는 역은? - 태블로를 활용한 손쉬운 데이터 시각화 /@@4Hrd/28 * 본 데이터는 제가 직접 취득한 데이터가 아닌 태블로 신병훈련소 과정 중에 활용한 실습 데이터임을 먼저 밝힙니다. 학교를 통학해서 다닐 때 가장 싫었던 것은 1호선이다. 국내에서 가장 먼저 개통한 자랑스러운 타이틀을 가지고 있는 1호선은 가장 노후한 시설을 자랑하며 덕분에 우리 모두 지하철이 아닌 지연철을 경험해 봤을 것이다. 2호선의 경우 상대적으로<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4Hrd%2Fimage%2Fs2mGwMnmc4Oouhxj6imwtokoCHU.jpg" width="499" /> Mon, 09 Nov 2020 17:37:00 GMT 최제힘 /@@4Hrd/28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는 스타벅스 음료는? - 데이터 분석으로 다이어트에 좋은 스벅 음료 찾기! /@@4Hrd/27 태블로 신병훈련소를 수료하고 최근 BI(Business Intelligence) 툴을 사용하는 것에 관심이 많아져서 태블로를 배우기 시작했다. 태블로에 대한 적절한 교육 자료를 찾던 중, 회사 측에서 제공하는 태블로 신병 훈련소에 참여하게 되었다. 데이터 시각화로 궁금증 해결하기 성공적으로 훈련소를 수료했지만, 배웠던 내용을 다시 한번 복습할 겸, 태블로<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4Hrd%2Fimage%2FlBnGC5CwYt2uWsRgnVf5I8eyZdM.jpg" width="500" /> Fri, 06 Nov 2020 13:54:56 GMT 최제힘 /@@4Hrd/27 거짓말을 반복하다 보면 결국 진실이 된다 - 여러분이 인용하는 명언, 과연 진실일까요? /@@4Hrd/26 오늘은 그냥 요즘 상황에 어울린다고 생각한 명언과 함께 글을 짤막하게 적어 본다 거짓말을 반복하다 보면 결국 진실이 된다 - 괴벨스 - 그런데, 희대의 선동가 괴벨스가 했다고 알려진 이 명언은 사실 괴벨스의 명언이 아니다. 실제로 나치 정권이 집권을 하고 있을 때, 나치 정권을 부정적으로 묘사한 것은 반대의 입장에 있었던 연합군 세력이었지 정작 ​괴벨스<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guest%2Fimage%2FC5TM0EjJQivPNT9qGUEUjxTWy6s.jpg" width="500" /> Sun, 04 Oct 2020 14:15:59 GMT 최제힘 /@@4Hrd/26 추석 연휴, 우리가 잔소리를 듣기 싫었던 이유 - 내가 듣기 싫은 말은 상대방도 듣기 싫을 텐데! /@@4Hrd/25 올해 추석 연휴는 작년과 달리 조용했다. 모여야 할 친척들이 모이지 않고, 가족들끼리 모여 조촐한 제사를 지내고 밥을 먹었다. 밥을 먹는 중 아버지가 이렇게 말씀하셨다. 젊은 친구들이 친척 어른들 잔소리를 듣기 싫어한다는데, 난 이해가 안 간다. &quot;관심의 표현으로 근황을 물어보는 건데, 그걸 잔소리라고 말하는 것도 이해가 되지 않아. 그리고 친척에게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guest%2Fimage%2FwD8rzULgrqyURjop_sicRV-9kdw.jpg" width="500" /> Sat, 03 Oct 2020 14:59:03 GMT 최제힘 /@@4Hrd/25 마약만큼 해로운 디지털 중독, 벗어날 수 있을까? - 네. 여러분의 이야기이자 제 이야기입니다. /@@4Hrd/24 가끔 지하철에 앉아 있는 사람들을 보면 놀랄 때가 많다. 그도 그럴 것이 다들 한결같이 휴대폰을 바라보고 있기 때문이다. 가끔 보면 성별/연령/소득 별로 분열되어 있는 대한민국 사회가 유일하게 조용해질 때가 바로 지하철에서의 휴대폰 시간이 아닌가 싶다. 더 놀라운 것은, 그렇게 사람들이 휴대폰을 보고 있는 것에 경악한 후 나도 바로 휴대폰을 바라본다는 것<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4Hrd%2Fimage%2F5O8mVKbJNo31w2PYpKh8B2gL0iI.jpg" width="500" /> Sun, 27 Sep 2020 12:55:59 GMT 최제힘 /@@4Hrd/24 왜 하필 데이터 사이언스를 파이썬으로 시작했나요? - R도 조금 배워본 문과생이 현재 파이썬으로 numpy 모듈을 배우는 이유 /@@4Hrd/23 데이터.... 데이터.... 데이터....!!! 수많은 단체들이 &lsquo;모든 의사 결정을 데이터에 기반해서 한다!&rsquo;라고 외치고 있다. 뭐 실제로 그럴지는 두고 봐야겠지만 아무튼 앞으로의 시대에서 데이터가 중요한 것임에는 이견이 없어 보인다. 내가 생각했던 데이터가 중요한 이유는 다음 링크에서 찾아볼 수 있다. 덧붙여 간단히 설명하자면 데이터 분석이란 개념은<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4Hrd%2Fimage%2FRz6Bql_sD_ivadx2eYGOR7FteRg.jpg" width="311" /> Sun, 20 Sep 2020 14:26:15 GMT 최제힘 /@@4Hrd/23 비상경계 문과가 데이터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 굵직한 선을 긋지는 못해도, 나중에 이을 수 있는 점은 찍을 수 있겠죠 /@@4Hrd/22 나는 사회학과 학생이다. 사회학과 학생들은 다르게 생각하는 방법을 배운다. (링크 글 참고​) 생각해 보면 차별화를 중시하는 마케팅에 빠지게 된 이유이기도 하다. 사회학을 배우며 다양한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방법을 배웠지만, 문과 특유의 두리뭉실한 이론 설명을 들으며 뭔가 찝찝했다. 그래서 경영학부 복수 전공을 선택했다. 그런데 &ldquo;경영학부까지 복<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guest%2Fimage%2FyS98k8iSEktxUrbcm-dCbQAZLBo.jpg" width="500" /> Fri, 18 Sep 2020 12:35:53 GMT 최제힘 /@@4Hrd/22 가장 현실적인 자취방 인테리어 만들기 - 시켜줘, 오늘의 집 명예직원 /@@4Hrd/21 무슨 글을 쓸까 계속 고민하다가 오늘은 내가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lsquo;내 집&rsquo;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나는 올해부터 독립을 해서 자취를 하고 있다. 맨 처음 내 자취방을 만났을 때가 기억난다. 전 집주인은 집에 있는 시간이 별로 없어서 집을 별로 꾸미지 않았고, 그랬기에 집은 구형 가옥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돈 없는 대학생<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guest%2Fimage%2FgoKbkDfG2VwDyMR1S6_n3rGgYgY.png" width="500" /> Sun, 13 Sep 2020 15:23:22 GMT 최제힘 /@@4Hrd/21 블랙 팬서, 채드윅 보스만이 알려주는 OKR의 중요성 - 회사에서의 OKR 말고, 여러분 삶의 OKR은 무엇인가요? /@@4Hrd/20 OKR &lsquo;어떤 방향으로 갈 것인가(Objective)&rsquo;와 &lsquo;그곳에 가고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지(Key Results)&rsquo;의 합성어. 회사가 먼저 목표를 정하면 부서와 직원들이 자발적으로 자신의 목표를 설정하는 쌍방향 방식. 회사와 팀, 각 구성원이 제대로 된 목표 달성을 위해 서로 돕는 시스템이라 직원 참여도를 높이는 것이 장점. (매일경제) O<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guest%2Fimage%2F1Hoedh3NubcTlJbXHnuRwLoQgNg.jpg" width="500" /> Sat, 12 Sep 2020 14:58:53 GMT 최제힘 /@@4Hrd/20 Struggling doesn&rsquo;t mean fail - 러닝에서도 동기부여를 받는다 /@@4Hrd/19 나는 심성이 연약한지라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크다. 실패했을 때의 두려움으로 목표를 실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굉장히 슬럼프에 취약한 편이다. 퇴사 후 잠깐 슬럼프에 빠져 있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시도했던 것은 작은 성공이다. 내 삶을 작은 성공의 경험으로 가득 채워 자신감의 향상에 이르도록 하는 것이다. 실제로 챌린저스 어플을 통해 매일 매일<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guest%2Fimage%2FQDicEhfMIXEIUmYdmmCX1Hccmb4.jpg" width="500" /> Fri, 11 Sep 2020 16:31:41 GMT 최제힘 /@@4Hrd/19 장마와 태풍, 그건 아마 우리의 잘못이야 - 내가 살면서 비를 혐오하게 될 줄이야 /@@4Hrd/18 나는 비를 꽤 좋아하는 편이다. 우선 빗소리를 들으면 감상에 빠질 수 있었다. 비만 오면 인기 차트에 등장하는 장마 친화형 가수인 헤이즈부터, 이상하게 비만 오면 생각나는 파전까지 가끔씩 더운 여름을 식혀주는 비는 나에게 반가운 존재였다. 하지만 올해부터, 비가 정말 너무도 싫어졌다 1) 습한 날씨 날씨가 습해지니 빨래가 절대 마르지 않는다. 건조기가 없는<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guest%2Fimage%2FHvO_aoAYMeu0-Fi7RIBw-GqPVXU.jpg" width="500" /> Sun, 06 Sep 2020 14:27:04 GMT 최제힘 /@@4Hrd/18 마스크는 관상이다 - 코로나 시대, 가장 확실한 관상은 마스크입니다. /@@4Hrd/17 관상은 과학이라는 말이 있다. 얼굴의 생김새로 인간의 도덕성을 판단하는 관상이라는 행위는 위험한 것이지만, 강력 범죄나 성범죄를 저지르는 사람들이 신상이 공개될 때마다 인터넷 댓글에는 &ldquo;관상은 과학이다&rdquo;라는 반응이 꽤 보인다. 그런데도 관상이란 것이 주관적인 경향이 있기에 어떤 사람의 얼굴을 가지고 누구는 좋은 관상이라고, 또는 나쁜 관상이라고 한다.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4Hrd%2Fimage%2FyQ7JkRV0-yGXHcqHDKs6RDDBbLc.jpg" width="500" /> Sun, 30 Aug 2020 14:18:43 GMT 최제힘 /@@4Hrd/17 일치/불일치 문제 풀이 방법 - 뒤에서부터 읽어라 /@@4Hrd/16 일치/불일치 풀이 유형(24~27)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lsquo;시간 단축&rsquo;입니다. 보통 한 문제당 1 분 30초가 평균적으로 소요되지만, 일치 불일치 유형은 한 문제당 30초 안에 풀 수 있을 정도로 훈련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시간 단축에 있어서 가장 좋은 방법은 역추적입니다. 보통의 방법과 같이 어떤 그래프인지 보고, 1번부터 맞는지 아닌지 확인할 필<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guest%2Fimage%2FlzOwfJKlFoL09lFoIAEBkdU5oS4.jpg" width="500" /> Thu, 27 Feb 2020 09:03:13 GMT 최제힘 /@@4Hrd/16 제힘 법칙을 만든 이유 - 효율성과 효과성을 추구하는 영어 수능 풀이 /@@4Hrd/15 누구나 고등학생이 됩니다. 그리고 고등학생이 되면 우리는 누구나 고등학생이 됩니다. 그리고 고등학생이 되면 우리는 &lsquo;수능&rsquo;이라는 시험을 준비해야 하죠. 저도 고등학생이었던 적이 있었고, 학원을 다녔던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학원을 다니고, 영어 공부를 하는 과정이 썩 즐겁지는 않았습니다. 학원 수업은 영어를 매우 잘하는 영어 선생님들이 나는 하지 못하<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guest%2Fimage%2F25AqAjoovsc95RRsOdCEKcBh3zA.png" width="500" /> Thu, 27 Feb 2020 07:52:25 GMT 최제힘 /@@4Hrd/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