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목록
-
『세상을 바꾼 생명과학』생물의 역사가 생명의 미래를 바꾼다 이 책의 부제목은 「생물의 역사가 생명의 미래를 바꾼다」이다. ‘인간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살아 숨 쉬는 생명의 비밀을 찾아내다!’가 카피이다. 혈액형이란 적혈구의 세포막에 있는 당단백질에 따라 혈액의 종류를 구분한 것이다. 적혈구 세포막의 당단백질을 보통 항원 또는 응집원이라고 한다. 항원 종류에 따라 세세하게 구분하면 혈액형은 500가지 이상이 된다.댓글 0 Mar 24. 2025 by 안서조
-
이 혈액형, 위암 확률 55% 높다… 나는 몇 %일까?“위내시경 예약, 나도 해야 할까요?” 사실 우리는 혈액형을 성격 유형처럼 쉽게 이야기해 왔다. “O형은 털털해, A형은 예민하지” 같은 이야기들 말이다. 하지만 최근 연구들은 단순한 성격 논쟁을 넘어, 혈액형이 실제 건강과 암 발생 확률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렇다면, 나는 몇 퍼센트의 위험을 안고 사는 걸까? 무심코 지나친 ‘혈액형’, 위암 위험과 연관 있을까?댓글 0 Mar 23. 2025 by 사람인척
-
마침내 알게 된 혈액형13년만에 쓰는 조산원 출산기 이번 겨울방학엔 숙원 사업이 있었다. 바로 아이들 혈액형 검사를 위해 보건소를 방문하기. 초등학생 두 아이의 혈액형을 아직도 모른다니 이상하게 여기실 분이 있을 것 같다. 나는 두 아이를 병원이 아닌 조산원에서 낳았다. 보통 병원에서는 출산 후 바로 신생아의 혈액형을 검사해서 알려주는데 조산원은 아니었다. 혈액형 이야기 나올 때마다 언젠가는 검사해 봐야지댓글 2 Mar 21. 2025 by 시에나
-
희귀 혈액형을 가진 사람들의 헌혈 이야기얼마 전 '헌혈로 240만 아기 살린 호주 '황금팔' 별세'라는 기사를 봤다. 제목을 보고서 나는 '어떻게 사람이 헌혈로 240만 명을 살릴 수가 있지? 이거 오타 아냐?'라고 생각하며 기사를 열어봤다. 내용인즉슨, 호주에 사는 제임스 해리슨이라는 남자의 항체에는 희귀항체 'Anti-D'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항체가 태아 및 신생아의 용혈성 질환을 치료하댓글 0 Mar 19. 2025 by 포데로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