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목록
-
과학적 방법론과 역사적 접근을 혼합한 기후학의 쓸모지식 덕후의 탄생 오래간만에 <오리진>과 <총, 균, 쇠>를 통해 익숙해진 지리(地理)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푸는 영상을 유튜브 알고리듬으로 만났습니다. 화자인 교수님은 이를 환경결정론이라고 학창 시절 교과서에서 듣고 외웠던 표현과 연결시켜 줍니다. 그리고 이는 제 머릿속에서 언젠가 보았던 <일론 머스크의 제1원칙 사고>와 오버랩됩니다. 주관적으로는 둘 사이에 명확한댓글 0 Feb 18. 2025 by 안영회 습작
-
2강: 축구지도이론-방법론(심화)구조화 마이크로 사이클과 전술주기화 축구방법론과 전술이론 축구 방법론 2가지 * 구조화 마이크로 사이클 * 전술주기화 * 게임모델이란? 1) 구조화 마이크로 사이클, 전술주기화의 대두 배경은? 90년대에 빅터 프라데의 전술주기화, 빠코 세이롤로의 구조화마이크로사이클이라는 두가지 방법론이 생기기전에는 그냥 축구 훈련을 장기적으로만 진행했다. 그리고 육체적, 정신적, 전술적, 기술댓글 0 Feb 18. 2025 by 날찬돌이
-
양적 UX 정량 조사 방법론Quantitative UX 리서치 UX 연구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양적 연구는 제품의 사용성에 대한 명확한 지표를 제공하는 데 강력한 도구가 된다. 정성적 조사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정량적 데이터이다. 양적 UX 방법론이 UX 연구에서 필수적인 부분으로 자리매김한 이유는 양적 연구가 수치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객관적인 통찰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댓글 0 Feb 12. 2025 by 인사라
-
애자일 방법론을 도입할 때 흔히 겪는 문제와 해결책너도 나도 하는 애자일 도입이 매번 실패하는 이유 대부분의 회사에서 한동안 유행처럼 퍼졌다가 잠잠해진(?) 아니면 이제는 대부분의 회사에서 당연하게 하고 있는 애자일 방법론을 도입하려는 이유는 대부분 비슷하다. 1)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에 기민하게 대응하기 위해 2) 고객 지향적 사고를 바탕으로 유연하고 효율적인 제품 개발을 위해 3) 기능 단위가 아닌 목적 조직 팀 간 원활한 협업을 위해 많은 조직이댓글 0 Feb 08. 2025 by Dean
-
대학원생 공부하기-공부하는 삶공부하는 삶 단순한 삶 간소한 삶 인생의 진리는 통한다. 공부하는 삶, 어떤 것을 지향하는 삶에 대한 방법론이나 원리는 모든 일에서 같다고 할 수 있다. 집중해서 열심히 그것을 향해 갈 것. 주변의 다른 것들은 정리할 것. 시간은 유한하므로, 체력과 내 능력은 유한하므로. 공부하는 삶을 원한다면 그것을 위해 단순하게 살아야 한다. 독서 기록을 살펴보니, [공부하는 삶]을 2014년 10월댓글 0 Feb 03. 2025 by 인유당
-
IT에는 왜 철학이 필요한가?IT에도 철학이 필요하다 IT산업에 종사하면서 우리는 흔히 기술과 방법론에 집착한다. 애자일(Agile) 방법론, MSA(Microservices Architecture) 아키텍처, React, Vue 같은 최신 기술과 프레임워크를 배우고 적용하면 프로젝트가 성공할 것이라는 기대를 품는다. 실제로 글로벌 탑티어 기업인 구글, 아마존, 메타, MS가 이러한 기술을 활용해 성공을 거두댓글 0 Feb 02. 2025 by 대협
-
AI Transformation,AI 트랜스포메이션AI 전환, AX, AIT 방법론 AI Transformation(AI 전환, AI 트랜스포메이션, AX, AIT)을 추진하는 조직을 위해 내 경험을 공유한다. 여러 기업의 AI Transformation을 조언할 때 갖고 있던 내 관점을 정리한 내용이다. 먼저, 몇 가지 배경, 주의 사항을 전한다. 1. AI Transformation = AX ? Digital Transformation댓글 0 Feb 02. 2025 by 김상균
-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이니셔티브 프레임지속가능 디자인의 방법론 - PDEA모델 '지속가능성'이라는 단어가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많이 뜸했네요.. 죄송합니다. 그동안 많은 일도 있었지만 15화를 마지막으로 연재를 종료하려 합니다. 비슷하지만 다른 콘셉트로 찾아뵙겠습니다. 공학에서 출발한 개념인 ‘디자인씽킹’은 이제 일반인들도 쉽게 접할 수 있는 방법론이다. 이 말은 즉, 누구나 디자인을 하는 시대라는 것이다. 심리학, 경제학, 사댓글 1 Jan 27. 2025 by 컬러코드
-
애자일의 심장 ‘스프린트’PO가 꼭 알아야 할 것들 안녕하세요, PO 여러분. 오늘은 애자일 방법론의 핵심인 스크럼 스프린트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스프린트는 팀이 단기간에 집중하여 작업을 완료할수 있도록 하는 주기적인 루틴을 가지고 생산을 하는 방식입니다. 반복되는 루틴을 통해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고객의 요구사항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거기에 회고를 통해 보다 생산방식과 협업이 고댓글 0 Jan 24. 2025 by 심플리파이어 한성희
-
방법론 논문이 SCIE급 저널에 accept 되었습니다미국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암 역학연구에 손쉽게 활용 오랜만에 글을 씁니다. 그 동안은 논문을 쓰느라 조금 바빴습니다. 최근에 BMC Medical Research Methodology라는 방법론 SCIE급 저널에 논문 한 편이 accept 되었습니다. 제목은 "Construction of the cancer patients’ database based on the US National Health and N댓글 2 Jan 18. 2025 by 문 진영
-
공감을 만드는 MVP, 감동을 주는 MVE무엇이 적절한 방법론일까? 최근 제품 개발 초기에는 MVP(Minimum Viable Product)와 MVE(Minimum Viable Experience)라는 두 가지 방법론 중 어떤 것이 더 나은 방식인가에 대해 논의 되고 있습니다. MVP(Minimum Viable Product)란? MVP는 최소 기능 제품을 의미하며, 제품이나 서비스의 핵심 기능만 구현하여 시장에 빠르게댓글 2 Jan 14. 2025 by 최성우
-
더 이상 핑계대고 싶지 않아!10억짜리 오답노트_망하지 않는 스몰브랜드 방법론 드디어 제품이 팔리기 시작했다. 작년 3월부터 판매가 들썩들썩하더니 4월 16일부터 매출이 0원이 되는 날이 없어졌다. 이때만 해도 진짜 고생 끝인 줄 알았다... 22년 8월에 출시하고 극소수의 즐기는 사람들, 그러니까 슬프게도 내가 누군지 거진 다 파악이 되는 사람들만 사고 또 사던 제품이었는데 이제는 (여전히 소소하지만) 팬덤도 생겼다. 사람들이 선물댓글 0 Jan 14. 2025 by 신영웅
-
Persona, 실무에서 꼭 필요한가요?Persona의 양면성과 응용성 안녕하세요, 멘토님. 저는 UX 분야로 전환을 준비 중인 직장인입니다. Persona가 사용자 이해를 돕는 핵심 도구라는 점은 알지만, 현업에서는 시간과 데이터 부족으로 피상적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아 의문이 듭니다. 실제로 Persona를 활용해 성과를 얻으셨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혹은 꼭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된 상황도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 Perso댓글 0 Jan 13. 2025 by 변민수 ㅡ UX민수
-
[ABP: 과학에 있어 재현성은 필수 덕목인가?]재현성은 왜 중요한가? 과학이 하나의 지식 체계이기 이전에, 하나의 사유 방법론으로서, 그리고 더 나아가 인류가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문명의 파운데이션을 건설하는 툴로서 자리잡게 된 것은 새로운 발견과 현상에 대한 검증을 하나씩 면밀하게 검토하면서 느리지만 꾸준히 벽돌 쌓듯 진보해 왔기 때문이다. 사실 과학의 연구 역시 사람이 하는 것이라 (물론 요즘에는 점점 인공지능에게 그 자댓글 0 Dec 31. 2024 by 권석준 Seok Joon Kwon
-
Deepdive into yourself10억짜리 오답노트_망하지 않는 스몰브랜드 방법론 올해는 정말 죄송하게 많은 강연을 거절해 왔습니다. 스스로에게 너무 부끄러워서요. 100번에 달하는 강연을 다녔지만 요즘만큼 부끄러운 적이 없습니다. 과연 신영웅은, 태리타운은 무엇을 증명했는가. 그 질문에 스스로 숨기 바빴던 것 같습니다. 비참하지만 동시에 깨달은 게 있었죠. 전 그저 무대가 마련될 때가 춤을 출 수 있단 걸, 직접 무대를 만들 능력이댓글 0 Dec 24. 2024 by 신영웅
-
Critical Thinking in Research논리적 사고와 글쓰기의 의의 What is 'Critical Thinking'? 연구방법론 교재에서는 'critical thinking'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critical thinking은 정보의 가치와 근거뿐만 아니라 그 정확도와 신뢰성을 평가하는 행동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훌륭한 연구자는 특별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그들만의 고유한 논리(이론)을 구조댓글 0 Dec 24. 2024 by 포도원지기 이대훈
-
컨설팅의 핵심 자산, "방법론"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자산화 하라 컨설팅 프로젝트에 투입되면 모든 것이 낯섦의 대상입니다. 산업군도 새롭고, 제품군도 새롭고, 회사도 새롭습니다. 물론, 산업군에 유경험자를 요구하는 경우는 산업군은 익숙할 수 있겠으나, 그것도 모든 경우가 그렇진 않습니다. 모든 것이 새롭더라도 딱 한 가지는 익숙해진 상태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해야 하는 데, 그것은 해당 컨설팅 프로젝트에서 해결하고자 하는댓글 0 Dec 21. 2024 by Jin
-
밸류 셀링에 대해서전략적 가치 전달을 통한 세일즈 방법론 현대 비즈니스의 역동적인 환경 속에서 경쟁은 치열해지고, 고객의 기대치는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통적인 세일즈 방법론은 종종 한계를 드러낸다. 바로 여기서 Value Selling(가치 기반 판매)이 등장하여 제품과 서비스의 마케팅 및 판매 방식을 새롭게 정의한다. 이 방법론은 단순한 기능이나 가격 경쟁에서 벗어나 고객에게 제공되는 깊댓글 0 Dec 16. 2024 by 유니유니
-
컨설팅 회사의 논리적 구조화 방법론현대 비즈니스 환경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복잡한 문제들이 끊임없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컨설팅 회사들은 고객에게 명확하고 설득력 있는 해결책을 제공하기 위해 체계적인 논리적 구조화 방법론을 활용한다. 이 글에서는 컨설팅 회사들이 자주 사용하는 논리적 구조화 방법론인 피라미드 원칙(Pyramid Principle), SCQA 구조(Situat댓글 0 Dec 16. 2024 by 유니유니
-
결말: 시를 쓰는 법시 창작에 대한 다양한 방법론이 존재한다. 많은 학자들이 시 창작법에 대해 서술했지만, 사실 이러한 방법론은 그다지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다. 학자는 해석하는 사람이고, 시인은 창조자다. 창조와 해석은 완전히 다른 매커니즘을 갖고 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많은 시인들이 교수직에 오르면 시를 잘 쓰지 못하게 되는 것도 같은 맥락일 것이다. 창조는 신의 능력댓글 4 Dec 08. 2024 by 안성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