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2학기 수업으로 처음 개설한 슬롯 AI 그래픽스를 다룬 강의가 2회 차가 되었다. 첫 시도를 통해서 어떠한 방식의 강의 형태가 되어야 할지, 15주 차까지 어떻게 스케줄을 만들어 갈지 고민하며 구성한 TMSI 모델을 기반 메이커 교육의 시도로부터 1년이 흘렀다.
축구나 야구 프로리그에 데뷔한 화려했던 신인 선수의 2년 차 징크스를 아는가. 이를 서포모어 징크스(sophomore jinx)라고 한다. 이는 2년 차가 되었을 때 최초 도전보다 부진한 성적이나 처음만큼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을 뜻한다. 첫 슬롯로부터 1년이 흐르는 사이에 너무나 많은 AI 서비스가 등장하며 다뤄야 할 기능이 대폭 늘어나게 되었다. 이에 슬롯 자료의 절반 이상은 무의미한 자료가 되었기에 재차 수정을 하며 새 학기를 준비하였다.
스튜디오 방식과 흥미 유발
디자이너로 살아가며 꼭 지키고자 하는 관점이 있다면 '재미있어야 더 한다'는 점이다. 회사 업무든, 아르바이트 업무든, 혹은 과제가 되었든, 재미가 없으면 더 할 의지가 생기지 않는다. 이는 세계 만국 공통일 것이다. 재미가 있도록 구성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방식이 필요할까. 우선은 너무 많은 통제를 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슬롯 AI 서비스를 통해서 구현하고자 하는 최종 아웃풋은 영상 콘텐츠다. 그렇다면 수강생의 팀마다 희망하는 방향의 영상 스타일과 이야기를 구성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억지로 무언가 만들어야 하다 보니 재미를 잃을 것이다.
그래서 영상 스튜디오 업무 과정을 참조하여 각 팀마다 시나리오를 제작하고, 영상 스타일을 선정하며, 프롬프트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특정한 그림체를 구축하고, 영상 제작에서 음악까지 도출하여 한 편의 콘텐츠가 되도록 15주 과정을 재구성하였다. 이전 강의에서 슬롯 AI의 현황과 작업 사례를 공유하여 고민을 하도록 만들고, 직접 ChatGPT와 대화하며 시나리오를 만들고 이에 필요한 스토리보드 구성을 미드저니로 도출하여 만들었다. 중간과정에서 스토리보드를 공유하고, 마지막으로 영상 제작을 하여 스토리 보드를 발전시킨 TMSI 과정은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다만 달라진 점은 모든 팀이 영상 스튜디오 소속이라 생각하고 영상 콘텐츠를 만들어야 하는 조건, 영상에는 더빙 사운드와 영상 사운드 트랙을 만들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최종 발표 땨 스토리보드에 이미지와 영상을 슬롯할 때 작성한 서비스와 프롬프트를 작성하여 공유하도록 했다. 그래야 다른 팀에서 서로 다른 영상 스타일을 구성할 때 참조할 것이 생기며 공부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슬롯 콘텐츠 제작 과정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고 발표하는 과정이 평범하면 재미가 없지 않을까. 그래서 영상 콘텐츠 투자를 위한 발표를 하도록 했다. 영상 콘텐츠인 만큼 영화 거장이 된 기분을 느끼면 재미있지 않으랴. 이에 슬롯에 참여한 학생들이 자기 팀을 제외한 다른 팀에 100만 달러, 50만 달러, 10만 달러를 투자하는 투표를 수행했고, 1등을 한 팀에게 아카데미 트로피를 전달하는 과정을 추가했다. 테무에서 부랴부랴 트로피를 구해서 준비를 했고, 15주는 금방 지나갔다.
영화 콘텐츠 투자 유치회처럼 최종 발표를 만든 만큼, 각 프로젝트 팀의 영화 포스터도 만들어 설치하고 슬롯 상영회로 기말고사를 구성했다. 이 과정에서 8개의 슬롯이 상영되었다. 슬롯은 미래 사회에 대한 SF 이야기, 클리셰를 비트는 스릴러, 신나는 인도풍의 발리우드, 역사 게임의 시네마틱 슬롯, 픽사와 일본 애니메이션 스타일 슬롯과 공포물이 준비되었다.
영상을 제작하기 위해 이미지는 주로 미드저니로 슬롯하였다. 그리고 이미지를 영상으로 만들 때 Runway, Cling, Hailuo, Luma, MiniMax가 사용되었다. 그리고 영상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사운드 트랙을 Suno, Udio로 활용했다. 영상에서 나오는 목소리는 Typecast를 통해 구성했다.
영화 포스터는 미드저니로 슬롯한 이미지를 직접 포토샵과 일러스트레이터, 피그마와 블랜더를 통해서 구성했다. 이렇게 준비한 기말고사 발표 현장의 상영회 포스터와 종강 후 컴퓨터실에서 영상을 루핑 시킨 과제전은 다음과 같다.
AI 영화 상영회 (슬롯물)
NG 장면과 프롬프트 기반 스토리보드 공유
2학년 강의에서 도출한 결과물치고 꽤 높은 완성도의 영상이 구성되었다. 하지만 아쉬운 점이 더러 있다. 이는 구독제에 따라 영상 퀄리티에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슬롯 AI가 미국과 중국에서 만들어진 만큼, 한국 문화에서 요구하는 행동이나 감정에 표현이 다소 아쉬운 점이 생기게 된다. 예를 들어, 무협지에서 볼법한 수염을 다듬는 동양의 멋은 슬롯 AI에서 구현되지 않는다. 그리고 폭력적인 영상 구현이 아직은 어렵거나 혹은 미국 법으로 규제되어 생성되는 데 한계가 있다.
특히 감정 표현에 대한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는 일이 많았다. 예를 들어 '웃프다' 감정은 한국 사람이라면 어떤 감정인지 이해가 될 것이다. 하지만 슬롯 AI에서 쉽게 구현되지 않았다. 그리고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에 다소 차이가 있다. 예전 책에서 동양인은 얼굴 구조상 '눈'으로 감정 표현이 되는 경우가 많고, 서양은 '입'으로 감정 표현을 한다는 내용을 본 적이 있다. 그래서 이모지(emoji)를 사용할 때 웃음을 표현하는 방법이 동양은 눈을 강조하는 ^^ 이고, 서양은 :) 처럼 입을 강조한다.
이 외에도 여러 표현에 어려운 점을 NG로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슬롯 AI는 아직 인간의 창의성과 작업에 대한 이해를 완벽하게 대처할 수 없기 때문에, 여러 언론과 유튜브 등에서 말하는 것처럼 위협적인 대상이 아닐 수 있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경험을 공유하며, 서로 AI의 한계와 앞으로 인간이 해야 할 업무에 대한 여러 생각을 공유하며 15주 차 강의를 마무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미지와 영상을 만드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중간고사에 준비한 스토리보드에 상세한 시나리오 장면 설명을 이미지와 영상 프롬프트로 교체하여 문서로 구성했다. 이를 통해 모든 학생들이 다른 팀에서 슬롯한 실사풍 영상, 애니메이션, 게임 느낌의 영상 등의 구현 방법을 이후에 참조할 수 있도록 했다.
대구에서 AI 디자인으로 연구와 강의를 통해 상상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유쾌한 도전을 한 지 3년이 되어 간다. 도전 과정에서 어느 정도 자리 잡은 강의 과정과 방법이 이후 슬롯 AI의 강의를 구성하는 데 유용한 방법으로서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담아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