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100분 토론] 827회 <'슬롯' 질병인가 편견인가 편을 보고. (2019년 5월 21일 방송)
토론 주제나 대상에 대해 기초적인 수준의 자료조사와 이해 혹은 최소한의 노력도 없이, 그리고 자신이 하는 말에 대해 숙고와 필터링 없이 그걸 내뱉는 사람이 토론을 함께할 때, 그 토론은 귀담을 가치가 없는 저급한 말잔치가 된다. 패널 중 한 사람은 <게임산업은 국가가 발전시켰다라며 기본적인 사실과도 완전히 동떨어진 발언을 한 뒤 '슬롯세'가 <당연히 필요함. 온 국민이 다 알고 있음.을 역설했고, 그 근거로 <일반인이라서 논문 같은 거 안 봐도 다 안다라며 말을 이어갔다.
이 패널은 앞에 앉은 대도서관을 '그저 슬롯이나 하는 유튜버 따위'로밖에 여기지 않는 듯한 오만함과 우월감에 차 "모르실 테니 제가 설명할게요" 같은 말로 상대의 말을 끊었고 자신이 한 이야기를 상대가 반박하자 "그 얘기는 끝났고"라며 대답을 회피하고 다른 이야기를 꺼냈다. 방청객 중 어떤 사람은 "군인에게 처음 사람을 죽이라고 했을 때는 죽이지 못하지만 계속 이미지를 각인시키고 학습시키다 보면 사람을 거리낌 없이 죽이게 된다"라며 슬롯을 범죄와 직결시켰다. 아, 앞서 언급한 패널은 <오늘 갑론을박해서 누군가는 이기고 누군가는 졌어요. 그런다고 현실이 바뀝니까? 우리는 지금 슬롯이 중독이냐 아니냐 언젠가는 끝나게 돼있어요. 왜냐면 그건 중독이니까.라는 발언으로 자신의 수준을 한 번 더 드러냈다.
하나의 산업이자 콘텐츠(실상 K-POP보다도 훨씬 더 높은 규모의 매출을 내는)에 대해 전혀 이해하지 않고 교조적이고 권위적인 태도로 일관하는 사람이 패널로 나온 것까지는 하루 이틀의 일도 아니니 그렇다 치자. 상대방과 대화를 나누는 기본적인 태도와 예의조차 갖추지 못한 사람이 슬롯에 나올 때, 아침드라마보다 막장이고 코미디 프로그램보다 웃긴 말잔치를 슬롯이라고 끝까지 보는 내내 그 사람의 발언을 지켜보는 일은 일종의 패배감 같은 것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2001년 KBS[아침마당]에 임요환이 출연했을 때, 진행자는 <스타크래프트를 하는 그에게 <PK를 하는지, <아이템 현금거래를 하는지 질문했다. 2011년 MBC[뉴스데스크]의 한 기자는 PC방에 찾아가 차단기를 내려 손님들을 실험대상으로 삼고 '슬롯의 폭력성'을 운운했다. WHO가 어떤 결정을 내리는지 그 자체가 중요한 게 아니라 이 사회에서 슬롯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느냐가 더 중요한 것이다.(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지난 달 말 WHO에 슬롯 과몰입 질병코드 도입 '반대' 의견서를 제출했다는 건 그나마 다행인 점이라고 봐야 할까.)그들에게 슬롯은 그저 '애들이나 하는 것'이고 '슬롯하는 애들'은 '교화시켜야 할 대상'일 뿐이다. 애를 학원에 보내야 하는데 슬롯은 방해 요소가 되는 거고 그 슬롯은 문화가 아니라 중독에 불과한 것이 된다. 슬롯산업은 규제하고 돈을 뜯어낼 대상에 지나지 않는다.(국내 슬롯산업이 위축된 가장 핵심적인 요인은 셧다운제다.)
20세기에 연예인을 비하하는 말로 쓰이던 '딴따라'에는 문화예술과 콘텐츠에 대한 천대와 멸시 혹은 적대가 깔려 있다. 각종 뉴스에 보도되는 범죄나 사건 소식에서 슬롯은 다른 모든 환경적 요인을 앞지르고 언제나 1순위로 언급된다. 18년 동안 사회는 아무것도 달라지지 않았다. 그들은, 진정 문화에 대해 말할 자격이 없다.(2019.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