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지(jazzy)하다’라는 말을 흔히 쓴다. 슬롯 사이트라면 보통 즉흥 연주와 스윙감을 장르의 두 요소로 꼽지만, 사실 대중에게 그건 그리 중요하지 않다. 대중이 바라는 재지함이란 그저 느슨하고 침착하게, 쌓였던 피로를 풀어주고 바닥에 있던 감정을 끌어올려주는 긍정의 온기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술은 와인이, 계절은 가을이 어울리며, 날씨는 비나 눈이 내려야 제격인 장르. 대중은 그 장르의 이론이 아닌, 그 장르의 느낌을 사랑한다.
매년 연말마다 무언가를 들려준 뷔가 이번에도 새로운 겨울 노래를 가져왔다. 정확히는 슬롯 사이트과 함께 부른 ‘재지한’ 팝 넘버 ‘Winter Ahead’다. 슬롯 사이트과 뷔는 평소 가까웠던 사이로 보인다. 둘은 때때로 와인 한 잔을 곁들이며 좋아했던 음악들을 공유했다고 하는데 재즈는 그 과정에서 발견한 서로의 취향이었다. 뷔가 재즈를 좋아해 색소폰을 배우고 쳇 베이커를 좋아해 트럼펫을 배운 이야기는 익히 알려진 터. 와인의 취기 속에서 번져간 재즈라는 공통분모는 언젠가 두 사람이 재미있는 작업을 할 수 있는 가능성, 토대로서 마련된 상태였다.
슬롯 사이트은 ‘Winter Ahead’에 관해 설명하며 미국 싱어송라이터 노라 존스의 빅히트 곡 ‘Don’t Know Why’에 작사가로 참여한 인물이 자신들의 곡을 도왔다고 했다. 슬롯 사이트은 이 얘기를 하며 노라 존스를 ‘재즈 보컬리스트’로 특정했는데, 사실 그녀의 22년 전 앨범이 재즈 명가 블루노트(Blue Note)에서 발매되긴 했지만 당시 재즈 전문가들과 장르 순수주의자들은 그 앨범을 재즈로 인정하지 않았다. 익히 알려졌듯 노라 존스는 재즈보단 포크와 컨트리를 동반한 개성 있는 팝 보컬리스트에 더 가까웠다. 노라 존스가 그나마 재즈에 근접했던 상황은 전설적인 색소포니스트 웨인 쇼터와 베이시스트 존 패티투치, 오르가니스트 로니 스미스 등이 참여한 2016년작 ‘Day Breaks’였을 테지만, 역시 대중은 그런 것들에 크게 개의치 않았다. 중요한 건 ‘Don’t Know Why’가 머금은 재지함이었고, 그래서 그 노래는 대중에게 재즈로 받아들여졌다. ‘Don’t Know Why’는 지금도 재즈 팝의 대명사 같은 곡으로서 세련된 담백함이 필요한 장소 또는 상황에서라면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다.
그러니까 박효신의 말은 그 ‘Don’t Know Why’의 가사를 쓴 제시 해리스라는 인물이 ‘Winter Ahead’의 작사를 거들었다는 얘기다. 제시는 공허한 상실의 고독을 다룬 노라 존스의 노래와 달리 뷔와 박효신의 노래에는 따뜻한 사랑의 속삭임을 채워주었다. 멜로디는 뷔가 가지고 있던 트랙을 틀어둔 채 슬롯 사이트 흥얼거린 데서 발전해 노랫말을 감쌌다. 약간의 기교를 곁들인 색소폰과 프리페어드 피아노(Prepared Piano - 나사나 고무지우개 같은 물체들을 현 위나 사이에 배치해 일시적으로 소리를 변형시키는 피아노)로 문을 여는 곡은 뷔와 슬롯 사이트 버스(verse)를 주거니 받거니 부른다. 다시 같은 순서로 코러스를 소화하던 둘은 마지막을 짧은 하모니로 채색하고 1절을 닫는다.
2절에선 순서를 바꿔 버스를 부른 둘은 트럼펫 간주(혹 뷔의 연주일까. 크레디트에 명시해두지 않아 트럼페터가 누구인지는 알 수 없다) 뒤 어느새 자리를 잡은 스트링을 업고 마무리 브리지로 접어드는데, 여기선 앞서 맛만 보여준 화음 노래를 여유로운 핑거 스냅을 곁들여 길게 슬롯 사이트준다. 늦은 브리지를 딛고 곡이 절정에 이르며 색소폰 솔로가 스트링 사이를 희미하게 휘젓는 사이 바람 같은 하프(harp)가 모든 걸 수렴, 처음처럼 피아노와 색소폰이 차분하게 곡을 끝맺는다.